[서울광장] 문재인 vs 김두관/이도운 논설위원

[서울광장] 문재인 vs 김두관/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2-05-30 00:00
수정 2012-05-30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고문과 김두관 경남지사가 대통령 후보 자리를 놓고 피할 수 없는 대결을 시작했다. 정치부장 시절 두 사람을 직접 인터뷰한 경험이 있다. 그 때문인지 두 사람에게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인터뷰 과정에서 관찰한 두 사람의 스타일을 비교해 보면 그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이미지 확대
이도운 논설위원
이도운 논설위원
김두관 지사와의 인터뷰를 생각한 것은 안상수 전 한나라당 대표 때문이었다. 안 대표가 2010년 9월 만찬 자리에서 야권의 가장 두려운 후보로 김 지사를 지목했던 것이다. 문재인 고문과 인터뷰를 한 것은 박근혜 새누리당 전 대표의 측근 때문이었다. 그는 지난해 4월 정치부장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리가 두려워하는 야권 후보는 손학규도, 유시민도, 김두관도 아니고 문재인”이라고 말했다. 시간의 차이 때문인지,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의 차이 때문인지, 여권이 두렵다고 지목하는 후보가 바뀌어 있었다.

문재인 고문과의 인터뷰 날짜는 지난해 6월 15일이었다. 문 고문은 “서울에 갈 일이 없으니 부산으로 와달라.”고 했다. KTX를 타고 가면서 문 고문의 자서전 ‘운명’을 읽었다. 문 고문은 이러이러한 사람일 것 같다고 머릿속에 그려봤다. 연제구 법조타운의 ‘법무법인 부산’ 사무실에서 1시간 50분 동안 대화를 나눴다. 문 고문은 머릿속에 그렸던 것과 거의 일치하는 사람이라고 느꼈다. 문 고문은 내가 들고 간 ‘운명’에 서명을 해주다 한 글자를 틀리자 새 책을 꺼내 다시 서명했다. 김두관 지사와의 인터뷰는 지난해 1월 14일 가졌다. 인터뷰를 요청하자 서울로 올라오겠다고 했다. 서울신문사 19층 기자클럽에서 1시간 40분간 대담을 했다. 인터뷰를 마친 뒤 김 지사는 편집국과 논설위원실을 돌며 기자 한 사람, 한 사람과 악수하며 인사를 했다.

김두관 지사와 문재인 고문 모두 훌륭한 인터뷰 상대였다. 질문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답변을 피하지 않았다. 당시 정치 현안에 대한 이해가 정확했고 향후의 정치적 풍향에 대한 통찰력도 있었다. 다만 노무현 정권에 대한 평가에는 차이가 있었다. 문 고문은 “성공을 넘어 정치사에 획을 그은 정부”라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스스로를 노 정권의 ‘6두품’에 불과하다고 거리를 두며 ‘비욘드(Beyond) 노무현’을 얘기했다.

문재인 고문과의 인터뷰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가판을 본 참모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제목을 그렇게 뽑으면 어떡합니까.” 제목은 ‘대선 출마 가능성 배제 안해’였다. 당시 문 고문 측으로서는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어쨌든 문 고문과의 인터뷰에 많은 정치인과 언론인이 관심을 보였다. 김두관 지사는 인터뷰를 한 뒤 며칠이 지나 직접 전화를 했다. “하도 많은 사람들이 인터뷰를 보고 전화를 해서 정신이 없다.”고 했다. 김 지사와의 인터뷰 기사는 지난해 1월 17일 인터넷 포털 네이버의 ‘가장 많이 본 정치 뉴스’ 1위에 올랐다.

사람들은 “둘 가운데 누가 더 나으냐?”고 묻는다. 인간적인 느낌을 묻는다면 답변은 쉽다. 문 고문은 신뢰하고 존경하는 친구, 김 지사는 마음이 편한 친구에 비유하고 싶다. 정치 지도자로서 묻는다면 어려운 질문이 된다. 문 고문은 인터뷰에서 “내가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은 정치권 바깥에 있기 때문”이라면서 “막상 현실정치에 들어서면, 그때는 착한 역할만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새 역사는 변방으로부터 온다.”면서 “기득권층과 관련이 없는 게 새로운 정치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두 사람의 경쟁에서는 누가 이길까. 한쪽이 친노라는 이름의 견고한 성 가운데 좌정한 선비라면, 다른 한쪽은 성 밖의 광야를 어슬렁거리는 필마단기의 장수라는 느낌을 받았다. 선비는 성문을 열고 나아가 더 큰 세상을 공략할 수 있을 것인가. 장수는 주변의 세력을 규합해 성 안의 세력까지 아우를 수 있을 것인가. 거기에 승부가 달려 있지 않을까.

dawn@seoul.co.kr

2012-05-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