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의 역풍이 사납다. 박지원 말고도 권노갑, 김상현, 한화갑…. 김대중 전 대통령(DJ)의 후예들이 눈을 부라리고 있다. 통합의 기치를 치켜든 손학규나 정동영이 위태로워 보인다. 벼린 작두 날에 맨발로 서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삐끗하다간 낙마할 수 있다. 겉으로 드러난 모습만 보면 그렇다. 통합의 난기류니, 위기니 하는 말은 그래서 나온다. 역풍이 거세면 흔들릴 가능성이 높다. 스스로의 행보를 의심할 때 싹은 튼다.
많은 이들이 손·정의 행보를 눈여겨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박원순 당선은 드라마였다. 배우는 박원순, 감독은 안철수다. 중요한 건 각본이다. 누가 썼을까. 각본 없이는 안철수도, 박원순도 무대에 오를 수 없다. 각본은 서울시민이 썼다. 변화를 갈망하던 사람들이다. 민심은 안과 박을 선택했고, 밀어줬다. 상식적인 국민이 상식을 표방한 이들에게 날개를 달아준 것이다.
새롭게 하라는 명령이고, 기대다. 그런 점에서 통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새롭게 바꾸라는 요청이다. 달리 표현하면 개혁이다. 개변(改變)에는 역류와 반동이 태동한다. 낡은 과거 세력이 발목을 잡는다. 세가 만만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실용주의 논리에 대한 보수주의 논리의 반격이다. 중국 진(秦)나라 효공 때 상앙(商鞅)과 감룡(甘龍)의 유세도 그랬다. 개혁파인 상앙과 수구 기득권 세력인 감룡이 격돌했다. 효공은 상앙의 손을 들어줬다. 사회의 문화와 상식은 투쟁을 통해서 바뀐다는 사실을 2300여년 전의 ‘상앙 vs 감룡’의 대결에서 배울 수 있다. 역류가 아무리 세고 사나워도 도도한 물줄기를 돌릴 수는 없다는 것이 상식이다. 지금으로 치면 효공은 국민이요, 민심이다.
통합은 새로움, 즉 창조여야 한다. 어떤 사람들이 모여 덩치를 키우는가는 의미가 없다. 정치공학적 이합집산으로는 민심을 얻을 수 없다. ‘왜’, ‘무엇’ 때문에 모여야 하는지가 분명해야 한다. ‘어떻게’는 다음 문제이고 실상 중요하지도 않다. 그러나 굴러가는 모양새를 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선명하기 때문이다. 이래 가지고는 감흥을 주기 어렵다.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는 정치 불신만 키울 뿐이다. 안철수 러브콜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지지도가 유지된다면 내가 포기하더라도 밀어주겠다.”는 구애는 자기도취다. 민심은 물론 안철수조차 제대로 모르는 몽상이다.
‘전환기를 맞은 대한민국’이라는 이전 칼럼에서 안철수 바람은 안철수에 의해 안철수가 만든 바람이 아니라 국민이 만든 것이라고 썼다. 안철수의 ‘상식’에 마음이 갔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서울시장 선거는 맛보기요,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전율을 느끼게 할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누가 나오라고 채근해서 나올 안철수가 아니다. 그렇다고 안철수가 무슨 요술방망이도 아니다. 그런데 통합파 일부의 러브콜을 보면 안철수가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해줄 전지전능한 신처럼 여기는 듯하다. 네 명의 왕이 167차례 불렀지만 37차례만 응한 서인과 노론의 영수 송시열을 보는 착각에 빠지게 한다.
안철수가 유일하게 눈치를 본다면 민심일 게다. 그가 박원순을 왜 도왔겠나. 친해서도, 아름다운재단을 함께한 동지여서도 아닐 것이다. 그의 말대로 ‘서울시장을 잘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나오라고 안 해도 위기라고 판단되면 그는 제 발로 정치판에 나올 것이다. 직접 대선 후보로 나설지 아니면 박원순을 도왔던 것처럼 믿는 후보를 밀어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박원순의 예처럼 민심의 파도에 들어가 민초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인물이 보인다면 그는 심각하게 고민할 거란 점이다. 어차피 통합이 시대적 요청이라면 통합의 배에서는 밝은 미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세력 재편으로 끝나서는 민심을 얻기 어렵다. 보수와 진보, 좌와 우, 여도 야도 아닌 창조적 통합이어야 한다.
ykchoi@seoul.co.kr
최용규 사회2부장
새롭게 하라는 명령이고, 기대다. 그런 점에서 통합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새롭게 바꾸라는 요청이다. 달리 표현하면 개혁이다. 개변(改變)에는 역류와 반동이 태동한다. 낡은 과거 세력이 발목을 잡는다. 세가 만만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실용주의 논리에 대한 보수주의 논리의 반격이다. 중국 진(秦)나라 효공 때 상앙(商鞅)과 감룡(甘龍)의 유세도 그랬다. 개혁파인 상앙과 수구 기득권 세력인 감룡이 격돌했다. 효공은 상앙의 손을 들어줬다. 사회의 문화와 상식은 투쟁을 통해서 바뀐다는 사실을 2300여년 전의 ‘상앙 vs 감룡’의 대결에서 배울 수 있다. 역류가 아무리 세고 사나워도 도도한 물줄기를 돌릴 수는 없다는 것이 상식이다. 지금으로 치면 효공은 국민이요, 민심이다.
통합은 새로움, 즉 창조여야 한다. 어떤 사람들이 모여 덩치를 키우는가는 의미가 없다. 정치공학적 이합집산으로는 민심을 얻을 수 없다. ‘왜’, ‘무엇’ 때문에 모여야 하는지가 분명해야 한다. ‘어떻게’는 다음 문제이고 실상 중요하지도 않다. 그러나 굴러가는 모양새를 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선명하기 때문이다. 이래 가지고는 감흥을 주기 어렵다.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라는 정치 불신만 키울 뿐이다. 안철수 러브콜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런 지지도가 유지된다면 내가 포기하더라도 밀어주겠다.”는 구애는 자기도취다. 민심은 물론 안철수조차 제대로 모르는 몽상이다.
‘전환기를 맞은 대한민국’이라는 이전 칼럼에서 안철수 바람은 안철수에 의해 안철수가 만든 바람이 아니라 국민이 만든 것이라고 썼다. 안철수의 ‘상식’에 마음이 갔던 것이다. 그런 점에서 서울시장 선거는 맛보기요,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전율을 느끼게 할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누가 나오라고 채근해서 나올 안철수가 아니다. 그렇다고 안철수가 무슨 요술방망이도 아니다. 그런데 통합파 일부의 러브콜을 보면 안철수가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해줄 전지전능한 신처럼 여기는 듯하다. 네 명의 왕이 167차례 불렀지만 37차례만 응한 서인과 노론의 영수 송시열을 보는 착각에 빠지게 한다.
안철수가 유일하게 눈치를 본다면 민심일 게다. 그가 박원순을 왜 도왔겠나. 친해서도, 아름다운재단을 함께한 동지여서도 아닐 것이다. 그의 말대로 ‘서울시장을 잘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 나오라고 안 해도 위기라고 판단되면 그는 제 발로 정치판에 나올 것이다. 직접 대선 후보로 나설지 아니면 박원순을 도왔던 것처럼 믿는 후보를 밀어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박원순의 예처럼 민심의 파도에 들어가 민초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인물이 보인다면 그는 심각하게 고민할 거란 점이다. 어차피 통합이 시대적 요청이라면 통합의 배에서는 밝은 미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세력 재편으로 끝나서는 민심을 얻기 어렵다. 보수와 진보, 좌와 우, 여도 야도 아닌 창조적 통합이어야 한다.
ykchoi@seoul.co.kr
2011-11-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