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층별 안내도 앞에서 한참 고민한 적이 있다. 여성의류 구역 중 한 곳에 ‘컨템퍼러리’라는 단어가 적혀 있었는데, 그곳에서 어떤 스타일의 옷을 파는지 쉽게 떠올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컨템퍼러리’는 ‘동시대의’, ‘현재의’를 뜻하는 영어 형용사로, ‘동시대인’을 의미하는 명사로도 쓰인다. 그렇다면 요즘 유행하는 스타일을 모두 모아 놨다는 의미일까.
예술계에서 말하는 ‘컨템퍼러리아트’는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1945년쯤부터 영국 평론가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됐으며 당시 미술, 건축, 디자인 등을 설명하기 위해 쓰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 20세기 후반의 예술, 문화, 사회현상을 모두 포괄하지만 어느 시기와 어떤 예술을 가리키느냐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 설명이 복잡하고 난해하다.
백화점 안내에서 발견한 ‘컨템퍼러리’라는 단어를 보고 너무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다. 패션계에서는 훨씬 쉽게 사용하고 있었다. ‘컨템퍼러리’는 좋은 품질과 고유한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명품보다는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브랜드를 의미한다. 요즘 가장 세련되고 주목받는 브랜드들의 집합체로, 지나치게 아방가르드하지 않으면서도 트렌디하고 ‘핫’한 스타일을 가리킨다. 즉 ‘오트쿠튀르’(고급 맞춤복)를 지향하는 ‘프레타포르테’(기성복)다. 예술계에서처럼 개념적이고 복잡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데, 패션계는 ‘유행’과 ‘가격’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깔끔하게 정의한다.
최근 무용계에서도 ‘컨템퍼러리’라는 이슈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국내 세 번째 공립 발레단으로 창단한 서울시발레단이 유일한 공립 컨템퍼러리 발레단이 될 것을 선언하면서 ‘컨템퍼러리발레’란 무엇인지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백조의 호수’나 ‘호두까기 인형’ 같은 고전발레가 아니면 모두 컨템퍼러리발레일까. 그건 아니다. 특정 안무가나 특정 기술로 정의하기도 어렵다. 패션처럼 몇 가지 키워드로 설명하긴 더 어렵다.
약 50년 전 파리오페라발레단에서 시작된 컨템퍼러리발레 붐을 떠올려 보았다. 그 불씨를 지핀 것은 미국에서 초청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 안무가 머스 커닝엄이었다. 1973년 그가 발레단을 위해 안무한 작품 ‘하루 또는 이틀’에서 발레단 단원들은 컨템퍼러리댄스를 몸소 경험하며 변화하기 시작했고, 이후 발레단 내 ‘안무연구그룹’(GRCOP)이 형성됐다. 그 과정에서 캐럴린 칼슨, 루신다 차일즈, 폴 테일러, 데이비드 고든 같은 현대무용가들을 초청하면서 파리오페라발레단은 새로운 발레의 세계로 나아갔다.
고전발레는 철저히 보존하면서도 발레에 현대무용을 섞어 다채로운 창작을 시도한 결과 프랑스의 컨템퍼러리발레가 탄생할 수 있었다. 동시대 예술을 선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다진 신생 단체를 위한 조언을 파리오페라발레단에서 구해 보자. “창의력을 가로막는 고정관념을 과감히 버려라. 그리고 주저하지 말고 다양한 것을 섞어라.”
장인주 무용평론가
예술계에서 말하는 ‘컨템퍼러리아트’는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다. 1945년쯤부터 영국 평론가들 사이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됐으며 당시 미술, 건축, 디자인 등을 설명하기 위해 쓰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관련된 20세기 후반의 예술, 문화, 사회현상을 모두 포괄하지만 어느 시기와 어떤 예술을 가리키느냐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 설명이 복잡하고 난해하다.
백화점 안내에서 발견한 ‘컨템퍼러리’라는 단어를 보고 너무 많은 생각을 했던 것 같다. 패션계에서는 훨씬 쉽게 사용하고 있었다. ‘컨템퍼러리’는 좋은 품질과 고유한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명품보다는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브랜드를 의미한다. 요즘 가장 세련되고 주목받는 브랜드들의 집합체로, 지나치게 아방가르드하지 않으면서도 트렌디하고 ‘핫’한 스타일을 가리킨다. 즉 ‘오트쿠튀르’(고급 맞춤복)를 지향하는 ‘프레타포르테’(기성복)다. 예술계에서처럼 개념적이고 복잡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데, 패션계는 ‘유행’과 ‘가격’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깔끔하게 정의한다.
최근 무용계에서도 ‘컨템퍼러리’라는 이슈가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국내 세 번째 공립 발레단으로 창단한 서울시발레단이 유일한 공립 컨템퍼러리 발레단이 될 것을 선언하면서 ‘컨템퍼러리발레’란 무엇인지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백조의 호수’나 ‘호두까기 인형’ 같은 고전발레가 아니면 모두 컨템퍼러리발레일까. 그건 아니다. 특정 안무가나 특정 기술로 정의하기도 어렵다. 패션처럼 몇 가지 키워드로 설명하긴 더 어렵다.
약 50년 전 파리오페라발레단에서 시작된 컨템퍼러리발레 붐을 떠올려 보았다. 그 불씨를 지핀 것은 미국에서 초청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 안무가 머스 커닝엄이었다. 1973년 그가 발레단을 위해 안무한 작품 ‘하루 또는 이틀’에서 발레단 단원들은 컨템퍼러리댄스를 몸소 경험하며 변화하기 시작했고, 이후 발레단 내 ‘안무연구그룹’(GRCOP)이 형성됐다. 그 과정에서 캐럴린 칼슨, 루신다 차일즈, 폴 테일러, 데이비드 고든 같은 현대무용가들을 초청하면서 파리오페라발레단은 새로운 발레의 세계로 나아갔다.
고전발레는 철저히 보존하면서도 발레에 현대무용을 섞어 다채로운 창작을 시도한 결과 프랑스의 컨템퍼러리발레가 탄생할 수 있었다. 동시대 예술을 선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다진 신생 단체를 위한 조언을 파리오페라발레단에서 구해 보자. “창의력을 가로막는 고정관념을 과감히 버려라. 그리고 주저하지 말고 다양한 것을 섞어라.”
장인주 무용평론가
장인주 무용평론가
2024-09-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