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과학입니다”라는 광고 문구가 있다. 이를 두고 특정 제품은 지식 체계인 과학이 될 수 없다고 하면 맥락을 이해 못하는 사람 취급을 받을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은 제품이 ‘좋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이렇듯 과학은 좋은 것, 근거 있는 것, 증명된 것의 대명사다.
서양에서 근대과학 이전의 과학, 즉 자연철학은 자연현상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지식 활동이었다. 동시에 그 지식이 종교적 세계관과 부합하는지, 일상의 경험과 일치하는지도 중요했다.
지구 중심의 세계관을 포기할 수 없었던 그 시기의 학자들은 지구중심설과 어긋나는 일부 천문관측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임시 가설을 추가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는 이런 활동이 ‘과학적’이었다.
이후 근대과학은 측정 데이터를 중시하고 이를 수집, 생산하기 위한 실험 설계, 분석, 증명과 같은 방법론을 정립했다. 근대과학의 창시자들은 정밀한 천문관측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태양중심설을 선택했다.
근대과학의 대표모델인 고전역학은 단일한 운동법칙으로 천문현상과 지구상의 운동을 모두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었다. 화학, 전자기학 같은 분야는 많은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가설을 세우고 잘 설계된 실험 데이터로 이를 입증하는 과정을 거쳐 과학이 됐다.
과학 방법론을 잘 훈련받은 과학자 사회에서는 어떤 것이 과학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절차가 비교적 명쾌하다. 물론 특정 연구 결과를 놓고 논쟁이 벌어질 때도 있다. 이때 과학자들은 쟁점을 뒷받침할 데이터와 데이터 생산 과정, 분석 방법을 공개한다. 다른 과학자들이 이를 검토하고 재현해 보는 과정을 통해 과학자 다수가 동의하는 결론에 이르고 논쟁은 종결된다.
반면 사회 일반에서는 ‘과학적’이란 단어를 체계적, 합리적, 객관적, 증명된, 데이터 기반 등의 용어 대신 폭넓게 사용한다. 과학 방법론에 대한 공유 기반 없이 용어의 함의만 빌려다 쓰곤 한다. 그래서 과학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은 과학입니다”를 길게 풀어 쓰면 제품과 관련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적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성능이 뛰어나고 소비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 광고 문구는 자세한 정보를 주는 대신 선언한다. 해당 기업의 기술력, 기업 이미지와 평판을 높게 보는 소비자는 이 광고에 설득되고 나아가 제품을 구매하게 될 것이다. 반면 해당 기업을 잘 모르거나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는 제품의 세부 사양, 제작 과정에 대한 정보와 사용 후기가 제공돼야 광고주의 선언에 설득될 것이다.
방법론을 공유하지 못한 경우 신뢰를 얻거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때라야 과학적이라는 주장에 동의할 수 있다. 의대 정원 증원 규모가 과학적인지 아닌지도 마찬가지다.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서양에서 근대과학 이전의 과학, 즉 자연철학은 자연현상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지식 활동이었다. 동시에 그 지식이 종교적 세계관과 부합하는지, 일상의 경험과 일치하는지도 중요했다.
지구 중심의 세계관을 포기할 수 없었던 그 시기의 학자들은 지구중심설과 어긋나는 일부 천문관측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임시 가설을 추가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는 이런 활동이 ‘과학적’이었다.
이후 근대과학은 측정 데이터를 중시하고 이를 수집, 생산하기 위한 실험 설계, 분석, 증명과 같은 방법론을 정립했다. 근대과학의 창시자들은 정밀한 천문관측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태양중심설을 선택했다.
근대과학의 대표모델인 고전역학은 단일한 운동법칙으로 천문현상과 지구상의 운동을 모두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었다. 화학, 전자기학 같은 분야는 많은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가설을 세우고 잘 설계된 실험 데이터로 이를 입증하는 과정을 거쳐 과학이 됐다.
과학 방법론을 잘 훈련받은 과학자 사회에서는 어떤 것이 과학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절차가 비교적 명쾌하다. 물론 특정 연구 결과를 놓고 논쟁이 벌어질 때도 있다. 이때 과학자들은 쟁점을 뒷받침할 데이터와 데이터 생산 과정, 분석 방법을 공개한다. 다른 과학자들이 이를 검토하고 재현해 보는 과정을 통해 과학자 다수가 동의하는 결론에 이르고 논쟁은 종결된다.
반면 사회 일반에서는 ‘과학적’이란 단어를 체계적, 합리적, 객관적, 증명된, 데이터 기반 등의 용어 대신 폭넓게 사용한다. 과학 방법론에 대한 공유 기반 없이 용어의 함의만 빌려다 쓰곤 한다. 그래서 과학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은 과학입니다”를 길게 풀어 쓰면 제품과 관련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적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성능이 뛰어나고 소비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 광고 문구는 자세한 정보를 주는 대신 선언한다. 해당 기업의 기술력, 기업 이미지와 평판을 높게 보는 소비자는 이 광고에 설득되고 나아가 제품을 구매하게 될 것이다. 반면 해당 기업을 잘 모르거나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는 제품의 세부 사양, 제작 과정에 대한 정보와 사용 후기가 제공돼야 광고주의 선언에 설득될 것이다.
방법론을 공유하지 못한 경우 신뢰를 얻거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때라야 과학적이라는 주장에 동의할 수 있다. 의대 정원 증원 규모가 과학적인지 아닌지도 마찬가지다.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2024-09-13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