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의 과학산책] 어긋난 공간 원격화와 업무 방식/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의 과학산책] 어긋난 공간 원격화와 업무 방식/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입력 2023-10-12 23:58
수정 2023-10-12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기술과 사회는 상호작용한다. 신기술은 사회변화를 촉발할 수 있지만 확산에는 자본 외에도 사회제도와 관습이 영향을 준다. 똑같은 기술이라도 사회마다 다른 속도로 확산되고 다른 방식의 변화를 일으킨다. 대표적 사례 중 하나가 팬데믹 시기 공간의 원격화다. 기술이 있으나 널리 사용되지 않았고, 코로나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용되자 삶의 방식에 영향을 주었지만 코로나가 사라지자 기술이 사용되지 않고 옛 방식이 대부분 돌아왔다.

19, 20세기에 철도, 자동차, 비행기 등 이동 기술이 발전하면서 시공간이 인류 역사상 가장 압축됐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동 없이 멀리 떨어진 사람과 만나고 대화하고 일 처리 하는 세상을 꿈꾸었다.

1959년 3월 2일자 국내 주요 일간지들은 “전화의 진정한 변혁은 ‘테레비죤’과 함께 사용할 때 올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술의 제작비가 낮아지면 바쁜 회사 중역들은 직접 가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개최되는 회의에 참석할 수 있고, 전화만 걸면 푸줏간 주인이 고기를 보여 주면서 주문받아 집에 배달해 줄 것이고, 아이들은 이 전화로 집에서 공부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격 화상회의, 온라인쇼핑, 인터넷 강의의 1950년대 버전이다.

1980년 앨빈 토플러는 ‘제3의 물결’에서 컴퓨터와 이메일을 쓰면 이런 세상이 가능하다고 설파했다. 특히 출근하지 않고 일하는 재택근무 개념을 소개해 수많은 직장인을 설레게 했다.

그로부터 40여년 후 토플러 청사진의 실사판이 됐다고 할 만큼 공간 원격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소비 영역에서 플랫폼 기반의 쇼핑과 공유, 상업, 교육, 문화 서비스가 폭넓게 이용된다. 반면 생산 영역에서는 기존 방식의 관성이 컸고 공간 원격화가 느렸다. 재택근무, 원격회의, 비대면 공교육은 코로나 팬데믹 때문에 피할 수 없게 됐을 때서야 비로소 현실이 됐다.

갑자기 맞닥뜨린 원격화된 공간이었지만 빠르게 적응했다. ‘테레비죤’ 전화를 대신할 기술과 장치들은 이미 개발돼 있거나 서둘러 개발됐다. 완전하지는 못해도 필수적인 일들은 할 수 있게 됐다. 일단 적응하고 나니 장점도 보였다. 특히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1~2시간 일 처리 하러 왕복 4~5시간 걸려 서울 나들이를 하지 않아도 되고, 평소에는 시공간 제약으로 참여할 수 없었던 많은 학술 모임, 강연 등에 참여했다.

코로나19가 잦아든 지금 생산 영역의 많은 활동이 이전 방식으로 돌아갔다. 다시 직장과 학교에 가고 일 처리를 위해 이동한다. 기술적으로 초연결사회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됐지만, 그에 맞는 삶의 방식이나 업무 방식을 개발하지 못했거나 새롭게 전환하지 못했다.

코로나 시기에 겪은 비대면 사회 경험을 통해 우리가 일하는 방식을 다시 살펴보고 전환의 실험을 해 볼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 비대면 방식을 전면 확대해야 한다거나 그게 더 좋다는 뜻이 아니다. 그러나 적어도 공간 원격화를 통해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일 처리를 하는 길이 있음을 알게 됐다. 그리고 그 길이 동시에 사회 활동에서 지역 불균형의 문제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2023-10-1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