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예전 추석을 떠올리면 그 중심에는 달과 새 옷이 있었다. 밝고 둥근 보름달은 추석 그 자체였다. 올 추석에는 특별한 달을 하나 더 볼 수 있었다. 지난 8월에 쏘아올린 다누리호가 보내온 사진 속에서 지구와 나란히 찍힌 달이었다. 이 사진은 한국 최초로 지구 중력권 밖에서 찍은 것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해상도 낮은 사진 속 수줍은 달은 추석의 예고편 같았다.
달은 여전한데, 추석빔은 기억에만 남고 이제 없어졌다. 잘살게 되면서 우리의 옷 문화가 멋, 유행, 청결을 중심으로 새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다양한 소재를 쓴 멋진 디자인의 새 옷을 사고, 멀쩡하지만 유행 지난 옷을 버리는 일은 일상이 됐다. 옷을 매일 갈아입고, 자주 세탁하는 생활 방식도 익숙하다. 기술사학자 루스 슈워츠 카원은 ‘과학기술과 가사노동’이란 책에서 옷을 자주 갈아입는 청결 문화 때문에 세탁기가 보급된 뒤에도 주부가 세탁에 들이는 시간이 더 많아졌음을 밝혔다.
달라진 옷 문화 때문에 거대한 헌옷 폐기물 문제가 생긴다는 보도를 봤다. 패스트 패션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입던 옷을 버리고 새 옷을 사는 주기가 짧아졌다. 새 옷이 흔해진 배경 중에는 합성섬유 발전이 있다.
옷에 사용되는 합성섬유로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가 대표적이다. 둘 다 듀퐁 소속 화학자 월리스 캐러더스의 연구에서 비롯됐다. 캐러더스는 나일론 발명에 성공한 뒤 폴리에스테르 관련 연구를 그만두었다. 그러나 다른 과학자들이 그의 연구를 계속했고 테릴렌, 데크론 등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개발됐다. 폴리에스테르의 미덕은 잘 구겨지지 않고 형태의 변형이 없다는 점이다. 다리지 않아도 매끈하게 오랫동안 옷태가 유지된다. 나 역시 그 매력에 빠져 폴리에스테르 소재를 선호해 왔다.
그런데 합성섬유로 만든 옷을 세탁할 때 미세플라스틱이 생기고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최근 알게 됐다. 페트병 같은 플라스틱 용기를 덜 쓰고 분리 배출을 잘하면 미세플라스틱 감소에 기여한다는 생각은 틀렸다. 플라스틱 수지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기원이 같다는 점을 생각하면 세탁기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생긴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더 놀라운 것은 친환경 소재로 알려진 비건레더와 에코레더 역시 비슷한 이유로 세탁할 때 미세플라스틱이 생긴다는 사실이다.
대응방법을 검색해 보니 세탁기에 부착하는 필터가 답이다. 다만 외국 제품이 많고 개인이 구매해 부착해야 한다. 2018년에 이미 ‘미세플라스틱 문제, 과학기술이 해결할 수 있을까’란 주제로 민관협의회가 열린 적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2월 ‘소비자기후행동’이 미세플라스틱을 막는 세탁기 개발을 요구했다는 사실이 보도됐다. 필요한 부품이 개발됐지만 제품에 통합되지는 못한 상태라는 것이다. 프랑스 의회는 2025년부터 생산되는 모든 세탁기에 미세플라스틱 필터 탑재를 의무화한다고 발표했다. 미세플라스틱 발생을 줄이기 위한 실천을 개인의 환경 인식에 맡겨서는 안 된다. 우리가 평범한 일상을 살 때 저절로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의 시작이다.
내년 초, 다누리호가 예정된 달 궤도에 안착해 본격 달 탐사를 시작하면 새로운 달 사진을 보내올 것이다. 그때쯤 우리 정부도 세탁기에 미세플라스틱 필터 탑재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하면 좋겠다. 그러면 깨끗이 세탁한 옷을 입고 마음 편히 두 개의 달을 모두 즐길 수 있을 것이다.
2022-09-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