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로하스’ 시대다. 로하스는 자신만의 건강은 물론 다른 사람의 건강까지 생각하는 이타적인 라이프스타일이다. 농산품 하나를 선택하더라도 친환경 농산물인지, 혹은 지속 가능한 농법으로 생산된 농산품인지를 꼼꼼히 따지는 이른바 ‘사회적 웰빙’을 추구한다. 로하스족에게 가격은 그다지 중요치 않다. 자신들의 가치에 맞는 상품이면 조금 비싸더라도 기꺼이 선택한다. 건강을 고려한 농산품, 생태계 보호와 관련 있는 제품, 자연과 삶을 조화시키는 상품을 찾는다.
특히 미국에서 활발한 로하스는 ‘건강+환경’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삶의 방식이다. 미국인의 절반 이상이 로하스적인 소비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로하스 시장 전문지인 주간 ‘로하스저널’은 미국 내 로하스 소비자들은 성인 인구의 30% 수준인 6300만명, 구매력을 연 2300억 달러로 추정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로하스는 생소한 이름이 아니다. 대형 할인매장이나 시장에서 조금 비싸더라도 유기농 제품에 더 눈길이 간다면,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면 당신도 이미 로하스족인 셈이다.
이제는 농촌도 로하스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 유기농 식품뿐 아니라 현재 수입에 의존하는 유기농 원사를 농촌에서 직접 재배해 상품으로 만들어 보자. 농촌이 먼저 도시민의 건강을 챙겨 주는 로하스 상품을 만들어 내면 의식 있는 도시민들이 ’로하스의 생활화‘에 앞장설 것이다.
박정석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특히 미국에서 활발한 로하스는 ‘건강+환경’을 생각하고 실천하는 삶의 방식이다. 미국인의 절반 이상이 로하스적인 소비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로하스 시장 전문지인 주간 ‘로하스저널’은 미국 내 로하스 소비자들은 성인 인구의 30% 수준인 6300만명, 구매력을 연 2300억 달러로 추정했다.
우리나라에서도 로하스는 생소한 이름이 아니다. 대형 할인매장이나 시장에서 조금 비싸더라도 유기농 제품에 더 눈길이 간다면,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면 당신도 이미 로하스족인 셈이다.
이제는 농촌도 로하스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 유기농 식품뿐 아니라 현재 수입에 의존하는 유기농 원사를 농촌에서 직접 재배해 상품으로 만들어 보자. 농촌이 먼저 도시민의 건강을 챙겨 주는 로하스 상품을 만들어 내면 의식 있는 도시민들이 ’로하스의 생활화‘에 앞장설 것이다.
박정석 농협안성교육원 교수
2016-05-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