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여름이 차차 사그라들었다―
하나도 느껴지지 않아서
배신감도 들지 않을 정도다―
오래전 물들기 시작한 노을처럼
외따로 떨어져 오후를
보낸 자연처럼
고요가 방울방울 떨어졌다―
저녁은 더 일찍 내려왔고―
아침은 낯설게 빛났다―
떠나야 하는 손님처럼,
정중하지만 쓰라린 은총―
이렇게, 날개도 없이
배를 타지도 않고
우리의 여름은 가볍게 도망쳤다
아름다움 속으로.
―에밀리 디킨슨 시 1540번
여름이 막 시작했는데 여름이 떠나는 시를 읽는다. 나무는 더 푸르게 무성할 것이고 햇살은 더 쨍쨍할 것이다. 옥상 작은 화단에 심어 놓은 고추 포기도 훌쩍 키가 컸다. 지금부터 성대하게 벌어질 여름 잔치를 앞에 두고 왜 여름이 떠나는 시를 읽는가. 작별을 미리 생각하는 것이 작별을 덜 슬프게 하는가? 그런 잔망스런 이유는 아니다. 우리는 매일 어떤 것과 작별한다. 그 의식에 어떤 슬픔이 깃드는지, 견디기 힘든 슬픔이 어떻게 잦아드는지, 그래서 끝내 아무렇지 않게 무감하게 되는지, 시인은 그 고통을 슬그머니 달랜다.
시의 첫 두 줄이 그 이야기다. “슬픔이 살그머니 잦아들듯/여름이 차차 사그라들었다”고 하니까 말이다. 시 원문에는 ‘imperceptibly’라는 단어로 되어 있는데, 슬픔이 잦아들어 무감해지는 단계를 확정하고 있다. 그걸 ‘슬픔이 느껴지지 않게 되듯이’라고 하게 되면 슬픔이 사라지는 과정이 생략되기에 ‘슬픔이 살그머니 잦아들듯’이라고 옮겼다.
이 시는 슬픔의 시면서, 여름의 시면서, 작별의 시다. 디킨슨에게 슬픔은 성대한 잔치 끝에 떠나보내는 여름과 같다. 풍성한 만남 후에 너무 깔끔히 떠나서 배신감조차 들지 않는 작별. 끝내는 잦아들어 감지조차 안 되는 슬픔. 여름 이후의 일. 저녁은 더 일찍 내려오고 낯선 아침이 환히 빛나는 시간. 가지 말라고 붙잡아도 떠날 손님은 떠나야 한다. 그 작별 의식을 시인은 “정중하지만 쓰라린 은총”이라고 표현했다. 이 작별은 우리가 살면서 어쩔 수 없이 맞이하는 모든 만남에도 적용된다.
하지만 시는 그렇게만 끝나지 않는다. 마지막 4행은 이렇다. “이렇게 날개도 없이/배를 타지도 않고/우리의 여름은 가볍게 도망쳤다/아름다움 속으로.” 와…. 시를 다 읽으며 나는 탄성을 내지른다. 끝에 와서 “아름다움 속으로”를 만날 줄은 몰랐다. 여기서 마음이 환해진다. 여름이 가는 걸 아쉬워하는 시인은 여름이 아름다움 속으로 도망쳐 버렸다고 한다. 그러니 아쉬울 리가. 나는 이 시를 모든 이별에 대한 시로 읽는다. 죽음을 포함한 모든 아픈 이별들은 아름다움 속으로 가는 일이라고. 그 담대함이 이별을 정중하고 비통한 은총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그래서 지금부터 시작해 보려 한다. 홀로 충만한 자연을 마음껏 즐기는 일을. 여름 노을이 언제 시작하는지 보고, 길가에 떨어진 붉은 장미 이파리 하나라도 새롭게 보려고 한다.
2023-06-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