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눈을 자극하겠지.
영원한 솔기 속에 접힌 채로,
주름진 창조자가 누워 있을 때.
감염된 문장은 새끼를 치고,
우리는 절망을 들이마시겠지.
말라리아에게서
몇 백 년 떨어진 곳에서—
―에밀리 디킨슨의 시
책상에 붙박인 4월 첫 일요일. 창밖으로 연분홍, 연두로 물들어 가는 산을 무연히 내다본다. 이 좋은 봄날에 나는 왜 여기 있는가, 나는 무엇을 쓰는가, 왜 쓰는가. 굳이 ‘붙박인’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일이 힘들어서가 아니라, 글은 온 몸과 마음이 정성을 들여야 하는 일이라서, 디킨슨을 빌려 말하면 온 영혼이 하는 일이라, 쓰는 일과 몸의 직접적인 관계성을 말하고 싶어서다.
시의 물질성을 디킨슨만큼 잘 구현한 시인도 많지 않다. 살아서 시를 많이 발표하지 못하고 동글동글한 손 글씨로 쓴 원고를 서랍 속에 남기고 죽은 그. 당대 수많은 남성 시인이 권위와 영광을 얻는 과정을 지켜보던 디킨슨은 내내 꽃을 가꾸고 시를 썼다. 시의 첫 줄, ‘지면에 아무렇게나 떨어진 단어는’은 자기 시를 가리키는 절묘한 표현이기도 하지만, 활자로 찍혀 나온 어떤 시, 어떤 구절에 대입해도 좋다. 눈을 자극한다는 것은 마음을 흔든다는 말, 놀라움을 준다는 뜻도 되고, 말 그대로 시가 되는 글자의 물질성을 드러낸다.
시는 읽을수록 묘하다. 솔기 속에 접히는 것이 언어만은 아니라서 ‘주름진 창조자’(wrinkled maker)는 누구인가? 세상을 창조한 신을 깜찍하게 가두는 도발인가? 디킨슨 자신, 나아가 어떤 형태든 예술을 만들며 늙어 가는 모든 창조자인가? 그렇다면 이 구절은 창조하는 자의 유한성을 거슬러 살아남는 시의 불멸을 전하는가? 시인은 가고 없는 이 세상에서 이 지면의 단어들이 독자의 눈과 만나 뭔가를 만드는 신비처럼?
쓰기와 읽기에 대한 메타적 독법을 선사하는 이 시에서 시선을 사로잡는 구절은 또 있다. “감염된 문장은 새끼를 치고/우리는 절망을 들이마시겠지.” 이는 너무 절실한 시의 마음으로 읽힌다. 좋은 시를 너무나 쓰고 싶은데 시가 나오지 않아 고민하고 몸부림치다 급기야 시가 미워졌다는 이도 봤는데, 문장으로 감염되는 이 역병은 대체 얼마나 지독한 것이라서 우리에게 절망을 선물하는가. 몇 백 년 지나서. 말라리아만큼 강렬한 역병-시. 시인-되기는 이 절망을 아는 자의 몫인가.
“감염된 문장은 새끼를 치고.” 이 봄, 절망을 들이마시고 싶을 정도로 나를 감염시키는 문장을 만나고 싶다. 그러고 보니 책상에 붙박인 공부도, 글도 어쩌면 세상을 감염시키고픈 마음. 디킨슨이 열어 주는 시선 앞에서 나는 그만 착해져서 고갤 끄덕인다. 좋은 말, 따끔한 말, 아픈 말, 순둥순둥 위로하는 말, 기쁜 말, 톡 쏘는 말…. 비명과 악귀와 무감과 무신경만 남아 이 세상 어디가 절망인지 어디가 희망인지 가늠하기 어려운 시절, 시의 감염을 찾아 헤맨다. 감염, 아니 감전되고 싶다. 저 봄의 꽃들만큼 닥치는 대로 아득하게, 그렇게.
2023-04-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