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 식물세밀화가
‘클로버’라고도 불리는 토끼풀의 꽃은 여러 개의 꽃송이가 하나의 꽃을 이루는 형태다. 아직 피지 않은 꽃송이와 이미 핀 꽃송이가 한 꽃에 동시에 존재한다.
토끼풀과 비슷한 괭이밥. 토끼풀의 잎은 원형에 가깝지만 괭이밥은 잎이 하트 모양을 하고 있다.
학생들이 행운의 네 잎을 찾으려 밟고 지나간 토끼풀 꽃은 식물세밀화에서 가장 중요한 기록 부위다. 이 꽃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러 개 꽃송이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한 송이를 떼어 보면 꽃은 마치 토끼의 얼굴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토끼풀이란 이름에는 많은 속설이 따른다. 토끼가 잘 먹기 때문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지만, 토끼 모양의 이 꽃송이를 관찰하다 보면 왜 토끼풀이라 불리는지 꽃이 이미 말해 주고 있는 듯하다. 게다가 이 수많은 꽃송이들은 한꺼번에 피고 한꺼번에 지지 않는다.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피고 진다. 이것은 토끼풀의 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꽃이 피는 것처럼 보여 수분을 도울 더 많은 곤충을 불러들이기 위한 방법이다.
우리가 하나의 꽃으로 알고 있던 것이 사실은 100여개 꽃과 1000개의 수술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우리는 꽃 한 송이를 그냥 지나칠 수 없게 된다. 결국 식물세밀화를 그리는 수업은 그림 기술을 익히거나 수술과 꽃잎 개수를 학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식물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경험을 통해 자연의 현상을 이해하는 교육인 셈이다.
토끼풀과는 전혀 다른 식물이긴 하지만 지난달에는 향신료로 쓰이는 딜을 그렸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하지만 유럽에서는 대부분 요리에 딜잎이 들어간다고 할 정도로 익숙한 식재료다. 아직 노지에서는 잎조차도 볼 수 없는 때라 서울에 있는 한 온실에서 딜을 관찰해야 했다. 방문한 온실의 정중앙에서 딜은 꽃을 피우고 있었다. 희미하고 가느다란 잎 사이사이에 핀 노란 복산형화서의 꽃은 마치 페넬 꽃과도 비슷했다. 꽃까지 볼 수 있을 거란 기대는 없었는데 이왕 꽃도 그려야겠다는 마음으로 다가갔다. 꽃에 손바닥을 대고 자세히 들여다보니 지름 0.2㎝도 되지 않는 수백 개의 작은 꽃이 각자 수술 4개와 암술 1개를 내보인 채 만개 중이었다.
멀리에서 ‘딜 꽃 하나’라고 불렀던 것은 300여개 꽃이었고, 꽃 하나에 수술 4개와 암술 1개, 5장의 꽃잎이 있었다. 이들 꽃은 가장자리에서부터 피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봉오리를 맺고 있었다. 딜잎만 이용하느라 이 치밀하고 세세한 꽃의 구조와 아름다움은 놓치고 살았다는 것이 왠지 억울했다.
식물세밀화를 그리지 않는다면 나는 결코 꽃과 수술의 개수를 일일이 헤아려 보거나 자세히 들여다보지도 않았을 것이다. 나는 이 일을 하며 안으로 들여다볼수록 더 넓은 세상이 펼쳐진다는 것을, 그리고 어느 특별하고 희귀한 존재가 아닌 평범하고 보편적인 존재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깨달아 가고 있다. 몇 년 전에 본 드라마에서 나온 대사가 문득 떠오른다. ‘드라마에서나 주연, 조연이 있지. 우리가 사는 세상은 다 각자가 주인공이지 않으냐.’
식물의 세상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그토록 찾는 네 잎 클로버나 향신료로 이용하는 딜의 잎 외에도 식물에겐 보통의 세 잎 클로버와 수백 개의 작은 꽃이 있고, 평범한 기관들이 보편적인 규칙 속에서 자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벌써 2020년의 일 분기가 지났다. 이럴 때일수록 네 잎 클로버처럼 확신할 수 없는 불투명한 목표를 향하느라 수많은 꽃송이와 같은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리를 돌아보는 건 어떨까.
2020-04-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