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달맞이꽃을 그리며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달맞이꽃을 그리며

입력 2019-08-14 22:06
수정 2019-08-15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여름이면 우리 주변 길가, 텃밭, 물가 등에서 꽃을 피우는 달맞이꽃.
여름이면 우리 주변 길가, 텃밭, 물가 등에서 꽃을 피우는 달맞이꽃.
4년 전 한 개인으로부터 식물세밀화 의뢰를 받은 적이 있다. 그는 유전자 변형 식물(GMO)을 연구하는 대학원생으로, 박사과정을 위해 곧 미국으로 떠나는데 은사께 감사의 의미로 식물 그림을 선물로 드리고 싶다고 했다. 개인 의뢰는 받지 않는 터라 고민했지만 나의 교수님도 떠올리게 한 사연이 마음에 와닿아 작업을 하게 됐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그려야 할 식물은 애초에 정해져 있었다. 은사가 가장 좋아하신다는 달맞이꽃이었다. 산업과 기술이 발달할수록 대개 가장 기본적인 것을 찾게 되는 우리 심리와 같이, GMO를 연구하는 학자 또한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달맞이꽃을 좋아한다는 점이 어쩐지 공감되고 의미 있게 느껴졌다.

그렇게 나는 몇 달에 걸쳐 내 작업실 앞 하천 주변에 핀 달맞이꽃을 관찰해 스케치와 채색까지 완성했다. 의뢰인을 만나 완성된 그림과 표본을 건네주던 날, 우리는 꽤 많은 이야기를 했다. 식량 불균등 배분 등을 걱정하며 GMO를 연구해야 하는 학자의 사명감과 애달픔에 대하여, 그리고 달맞이꽃처럼 자연스레 뿌리를 뻗어나가는 식물만 이용하며 인류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느냐는 희망에 대하여.
이미지 확대
푸른잎노랑낮달맞이꽃 ‘프루링스 골드’의 잎(왼쪽부터 시계 방향), 애기분홍낮달맞이꽃, 분홍낮달맞이꽃의 꽃.
푸른잎노랑낮달맞이꽃 ‘프루링스 골드’의 잎(왼쪽부터 시계 방향), 애기분홍낮달맞이꽃, 분홍낮달맞이꽃의 꽃.
달맞이꽃은 우리 주변 길가, 하천, 텃밭, 공터에 늘 피어 있어 너무나 익숙하지만 사실 남아메리카에서 들어와 스스로 자리를 잡은 귀화식물이다. 달을 맞는 꽃이라는 이름처럼 아침이면 시들었다가 밤에 꽃을 피운다. 낮에 꽃이 피는 다른 많은 식물들 사이에서 수분을 도울 곤충을 유혹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밤에 개화하는 형태로 진화된 것이다. 물론 밤에는 곤충도 적지만 그만큼 수분을 할 꽃도 적어 경쟁이 약하다. 달맞이꽃에게 낮이란 밤에 수분을 하기 위한 기다림의 시간이다.

밤을 기다리는 달맞이꽃처럼 이들을 그릴 땐 나도 달이 뜨기를 기다렸다. 나는 기다림에 꽤 익숙하다. 식물을 기록하면서 그렇게 됐다. 달빛 아래에서는 스케치를, 낮에는 선명한 제 색을 포착하기 위해 햇볕 아래에서 채색을 했다.

그렇게 4년이 지난 어느 날 의외의 장소에서 달맞이꽃을 다시 만났다. 우리나라의 담수생물을 연구하는 국립 연구기관에서 식물의 효용성을 연구한 결과를 사람들에게 그림으로서 알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기관에서 선정한 첫 식물이 바로 이들이었다.

달맞이꽃의 뿌리와 종자유의 효용성 연구는 이미 꾸준히 진행돼 왔고, 사람들은 갱년기, 콜레스테롤, 아토피를 개선하는 약으로 이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 기관은 달맞이꽃이 피부 노화 및 피부질환 개선에도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고 특허 출원까지 했다. 나는 어쩔 수 없이 달맞이꽃을 두 번 그릴 운명이었던 것이다 한 번 기록한 식물을 수정, 추가할지언정 다시 그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4년 전 그린 그림보다 학술적인 해부도에 가까운 그림을 그리기로 하고 새로이 작업을 하게 됐다.

식물의 가능성, 자원화 연구를 주제로 그림을 그릴 때엔 더욱 이 식물이 소중하게 느껴진다. 비록 내가 연구한 결과물은 아닐지라도 이 작은 풀에게서 이토록 거대한 효과가 있다니 그 능력에 기특하고 대견한 마음이 든다. 그러면 나도 모르게 더 세밀하게 관찰하고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림을 보는 사람들도 이 식물의 소중함을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선을 긋는다.

시간이 지나면 달맞이꽃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화장품과 건강 기능 식품도 나올 것이다. 그러면 사람들에게 달맞이꽃은 더욱 귀한 식물로 여겨질 것이고. 내가 지금 그리는 이 그림은 화장품을 설명하는 패키지 디자인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식물의 가능성은 곧 식물세밀화의 가능성이기도 하다.

어제는 원예식물이 많이 식재된 춘천의 한 식물원 가드너에게 혹시 그곳에 달맞이꽃이 있는지를 물었다. “잎에 무늬가 있는 종이 있어요. 이름은 푸른잎노랑낮달맞이꽃 ‘프루링스 골드’예요.”

낮달맞이꽃이라니. 내가 그렸던 달맞이꽃이 낮에도 꽃을 피울 수 있게 됐다. 초록색 잎엔 노란색의 무늬도 생겼다. 낮에 꽃을 피우는 낮달맞이꽃, 달의 노란색이 아닌 분홍색을 띠는 분홍낮달맞이꽃, 그리고 그보다 꽃이 작은 애기분홍낮달맞이꽃으로, 달맞이꽃은 변형되고 확장돼 우리 주변의 풍경을 아름답게 하는 관상식물이 돼 준다.

나는 또 이 글을 쓰기 위해 이 달맞이꽃 품종들을 그리고 있다. 이들의 개화를 기록하느라 기다렸던 낮의 시간만큼, 그렇게 기다림 끝에 만난 밤 어둠 속에서 확대경을 통해 보았던 샛노란 잎의 강렬한 빛만큼 도시에서 이들의 존재감이 더 커지길 바란다. 더더욱 귀한 식물이 됐으면 좋겠다. 그러면 나는 어느 의외의 순간에 또 달맞이꽃을 만나 그리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2019-08-1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