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그리스 건축물과 가구, 도자기 등의 장식에 활용된 아칸투스. 디자인 요소로는 아칸서스 양식, 다년생 관상용 정원식물, 염증 치료에 쓰는 약용식물이자 생활 속에 이용된 민속식물이다.
포도나무의 덩굴은 자유로운 디자인 활용이 가능하다. 평화·번영의 상징으로서 아르누보 건축, 가구, 그릇의 장식 요소로 활용됐다.
작년 영국 런던 첼시가든을 거닐다 잔잔한 꽃들 사이 거대하고 화려한 보라색 꽃을 보았다. 규칙적으로 꽃이 핀 기다란 꽃대에 가시와 같은 덤불을 이룬 잎의 식물. 우리나라에서는 본 적이 없는 꽃이라 앞의 이름표를 자세히 보니 학명 ‘아칸투스 몰리스’라고 적혀 있었다. ‘이게 바로 그 아칸투스였구나.’ 몇 년 전 한 과학잡지의 요청으로 같은 아칸투스속의 다른 식물을 그린 적이 있었다. 내가 그린 건 ‘아칸투스 스피노수스’로 생김새가 조금 다르긴 하지만, 둘 다 서양의 디자인 작품들에서 본 그 패턴의 잎인 건 틀림없었다.
아칸투스는 지중해 연안 원산으로 언뜻 엉겅퀴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들의 이름을 검색하면 식물의 이미지보다는 ‘아칸서스’라는 건축 장식 이미지가 더 많이 나온다. 식물 그 자체로서보다는 건축물의 장식 요소로서 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건축가인 칼리마쿠스가 아칸투스 잎에 영감을 받아 코린트 주두 장식 패턴으로 활용한 것을 시작으로 이 식물은 로마, 그리스 건축물과 도자기, 가구, 분수대 등의 장식으로 현재까지 활용돼 왔다. 종교 건축물의 디자인 패턴으로 자주 활용되다 보니 아칸투스는 장수, 불멸, 영적 상징이 돼버렸고, 귀한 관상식물로서 유럽 각지에서 사랑받고 있다.
아칸투스 외에도 포도나무 덩굴줄기의 곡선, 구과식물 구과의 수학적 형태, 양치식물의 잎과 포자낭군의 구조 등 미술, 디자인, 건축 요소가 돼 준 식물들은 많다. 결국 우리에게 주어진 재료는 자연물이고, 자연물의 관찰과 재현으로부터 인류의 예술 작업은 시작되기 때문이다.
물론 내가 아칸투스를 보았던 첼시가든은 런던약사협회에서 운영하던 약용식물원이어서, 이곳에서만큼은 이들은 건축물의 요소가 아닌 약용식물과 관상식물로서 존재하고 있었다. 실제로 이들의 잎을 아프리카에서는 삶아서 통증 부위에 발라 통증, 염증 치료에 이용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잎이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다며 쌀을 잎에 싸서 보관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항암, 항산화 효과에 대해 연구 중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니 이들은 장식 요소뿐만 아니라 관상용 화훼식물로서, 약용식물로서 다양한 가치로 존재하는 것이다. 어쩌면 시각디자이너들이 이들 잎을 본다면 거치로부터 강렬한 이미지의 서체를, 작곡가들은 음역대가 높은 경쾌한 곡을 만들어 낼지도 모르겠다.
지금껏 나는 삶의 거의 반을 식물과 함께했고, 그래서 내 주변에는 식물을 연구하거나 매개로 하는 친구들이 많다. 그들과 식물을 볼 때엔 정보, 효능, 가능성을 주로 이야기한다. 계수나무를 보며 이들은 중국에서 왔고, 이 잎에서는 말톨이란 분자가 방출돼 달콤한 향기가 난다든가 하는 식물의 정보를 논한다. 나는 식물을 깊숙이 이해할 수 있는 이 시간을 즐겨 한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2019-08-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