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우리 각자의 아칸투스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우리 각자의 아칸투스

입력 2019-07-31 22:44
수정 2019-08-01 01: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로마 그리스 건축물과 가구, 도자기 등의 장식에 활용된 아칸투스. 디자인 요소로는 아칸서스 양식, 다년생 관상용 정원식물, 염증 치료에 쓰는 약용식물이자 생활 속에 이용된 민속식물이다.
로마 그리스 건축물과 가구, 도자기 등의 장식에 활용된 아칸투스. 디자인 요소로는 아칸서스 양식, 다년생 관상용 정원식물, 염증 치료에 쓰는 약용식물이자 생활 속에 이용된 민속식물이다.
몇 달 전 시각디자인 전공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한 적이 있다. 식물을 기록하는 내가 예비 디자이너들에게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고민 끝에, 내가 관찰해온 식물의 이야기를 하기로 했다. 후에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터를 제작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주어진 과제였는데, 완성된 과제를 통해 내가 이야기한 식물들이 포스터 속 다양한 이미지 요소와 패턴으로 재구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미지 확대
포도나무의 덩굴은 자유로운 디자인 활용이 가능하다. 평화·번영의 상징으로서 아르누보 건축, 가구, 그릇의 장식 요소로 활용됐다.
포도나무의 덩굴은 자유로운 디자인 활용이 가능하다. 평화·번영의 상징으로서 아르누보 건축, 가구, 그릇의 장식 요소로 활용됐다.
작품은 대부분 식물의 줄기와 잎, 꽃, 열매 등의 형태에서 영감받은 곡선의 서체로 만들어졌다. 지금껏 식물을 있는 그대로 기록해 온 나는 식물의 줄기, 꽃 안에 든 수술과 암술의 형태가 서체로 구현되는 것을 보면서 식물 자원화의 영역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됐다. 관상, 약용, 식용 등 눈에 보이는 것으로서의 활용을 넘어 예술가로부터 영감의 원천으로서 또 다른 시각 예술 작품이 되는 것. 이것 또한 식물의 자원화 영역에 해당되지 않을까.

작년 영국 런던 첼시가든을 거닐다 잔잔한 꽃들 사이 거대하고 화려한 보라색 꽃을 보았다. 규칙적으로 꽃이 핀 기다란 꽃대에 가시와 같은 덤불을 이룬 잎의 식물. 우리나라에서는 본 적이 없는 꽃이라 앞의 이름표를 자세히 보니 학명 ‘아칸투스 몰리스’라고 적혀 있었다. ‘이게 바로 그 아칸투스였구나.’ 몇 년 전 한 과학잡지의 요청으로 같은 아칸투스속의 다른 식물을 그린 적이 있었다. 내가 그린 건 ‘아칸투스 스피노수스’로 생김새가 조금 다르긴 하지만, 둘 다 서양의 디자인 작품들에서 본 그 패턴의 잎인 건 틀림없었다.

아칸투스는 지중해 연안 원산으로 언뜻 엉겅퀴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들의 이름을 검색하면 식물의 이미지보다는 ‘아칸서스’라는 건축 장식 이미지가 더 많이 나온다. 식물 그 자체로서보다는 건축물의 장식 요소로서 더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건축가인 칼리마쿠스가 아칸투스 잎에 영감을 받아 코린트 주두 장식 패턴으로 활용한 것을 시작으로 이 식물은 로마, 그리스 건축물과 도자기, 가구, 분수대 등의 장식으로 현재까지 활용돼 왔다. 종교 건축물의 디자인 패턴으로 자주 활용되다 보니 아칸투스는 장수, 불멸, 영적 상징이 돼버렸고, 귀한 관상식물로서 유럽 각지에서 사랑받고 있다.

아칸투스 외에도 포도나무 덩굴줄기의 곡선, 구과식물 구과의 수학적 형태, 양치식물의 잎과 포자낭군의 구조 등 미술, 디자인, 건축 요소가 돼 준 식물들은 많다. 결국 우리에게 주어진 재료는 자연물이고, 자연물의 관찰과 재현으로부터 인류의 예술 작업은 시작되기 때문이다.

물론 내가 아칸투스를 보았던 첼시가든은 런던약사협회에서 운영하던 약용식물원이어서, 이곳에서만큼은 이들은 건축물의 요소가 아닌 약용식물과 관상식물로서 존재하고 있었다. 실제로 이들의 잎을 아프리카에서는 삶아서 통증 부위에 발라 통증, 염증 치료에 이용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잎이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다며 쌀을 잎에 싸서 보관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항암, 항산화 효과에 대해 연구 중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니 이들은 장식 요소뿐만 아니라 관상용 화훼식물로서, 약용식물로서 다양한 가치로 존재하는 것이다. 어쩌면 시각디자이너들이 이들 잎을 본다면 거치로부터 강렬한 이미지의 서체를, 작곡가들은 음역대가 높은 경쾌한 곡을 만들어 낼지도 모르겠다.

지금껏 나는 삶의 거의 반을 식물과 함께했고, 그래서 내 주변에는 식물을 연구하거나 매개로 하는 친구들이 많다. 그들과 식물을 볼 때엔 정보, 효능, 가능성을 주로 이야기한다. 계수나무를 보며 이들은 중국에서 왔고, 이 잎에서는 말톨이란 분자가 방출돼 달콤한 향기가 난다든가 하는 식물의 정보를 논한다. 나는 식물을 깊숙이 이해할 수 있는 이 시간을 즐겨 한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그리고 가끔은 식물학자가 아닌, 다양한 영역의 친구들을 내가 있는 곳으로 부르기도 한다. 타이포그래피를 연구하는 그래픽디자이너와 시를 쓰는 시인, 이야기를 만드는 드라마 작가, 설계회사에서 일하는 건축가와 같은 친구들. 똑같은 계수나무를 보고 그래픽디자이너인 친구는 잎의 형태를 자세히 관찰하고, 드라마 작가인 친구는 계수나무 곁의 사람들 풍경을 사진으로 찍으며, 건축가인 친구는 수피의 질감과 색에 감탄한다. 같은 풍경, 같은 식물을 보면서 서로 다른 생각과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이 흐름이 재밌어 나는 이 다양한 친구들을 자꾸만 식물 곁으로 불러들인다. 이들 모두 각자의 시선과 위치에서 식물을 자원화한다. 이들로부터 식물이 식용, 약용 자원은 되지 못할지언정, 문명을 이끄는 예술 작품으로서 구현된다. 그토록 다양하게 구현되는 식물의 이면은 또 다른 누군가의 영감이 되고, 식물은 그렇게 더 넓은 세계로 확산된다.
2019-08-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