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공간에 자국을 남긴다. 무쇠도, 돌덩이도 시간을 담을수록 변한다. 연한 풀, 무른 나무와 사람은 더욱 그렇다.
예전에 살던 집이 궁금해 기억을 더듬어 찾아간 적이 있다. 무심한 세월에 집 전체가 폐허가 됐다. 월세 살던 단칸방 툇마루는 주저앉았고, 창호지가 너덜너덜한 문짝은 돌쩌귀가 떨어져 나가 삐딱하게 매달려 있었다. 호방하던 하사관 출신 바깥주인과 맛이 일품인 고추장 돼지고기를 숯불에 구워 주시던 안주인은 세상을 떠났고, 그 집 딸도 지천명의 나이로 계곡 옆에 작은 가게를 내고 행락객을 상대로 무얼 팔고 있었다. 서로 한눈에 알아봤지만 반가워하는 그녀나 나와 아내의 얼굴은 더이상 이십대가 아니었다. 현실이 기억과 부딪치는 낯선 순간이었다.
만사가 고요할 때면 시간과 공간, 사람이 서로 얽힌 옛것이 생각나곤 한다. 대부분 사라져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해도 헤지고 부서졌다. 알지 못하던 것들이 불현듯 나타나는가 하면 상상조차 않던 새로운 존재들이 생겨나 그들의 시간을 지배하고 공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앞모습으로 다가온 것들은 어느새 뒷모습으로 사라지고 또 새로운 앞모습이 쉼없이 왔다 간다. 변치 말자며 손가락을 걸던 별처럼 반짝이던 시절을 생각하면 헛웃음이 난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한다”는 사실만 변하지 않을 뿐이다.
피천득은 수필 ‘인연’에서 열일곱 살 때 일본 도쿄에서 처음 만난 아사코의 기억을 떠올린다. 청순한 어린 소녀에 대한 회상이 애틋하다.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백합같이 시들어 가는 그녀와의 마지막 만남에 대한 피천득의 회한이 하도 깊어 독자조차 한숨이 나올 지경이다.
희미해진 기억이 사실을 희롱할 때가 있다. 기억의 환상과 왜곡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고, 기억을 해체하고 포장한다. 기억이란 과거의 어느 시간과 공간, 거기에서 사람과 사물이 남긴 흔적이다. 그 흔적은 기억의 재생 과정에서 보태고 덜어지면서 상상의 세계에 빠지기 일쑤다.
그날 어렵사리 찾은 이십대 시절 흔적은 폐허로 다가와 나의 소중한 추억을 송두리째 빼앗고 말았다. 피천득이 만난 아사코가 그랬듯이….
시절인연. 명나라 승려 운서주굉의 말이다. “시절인연이 도래하면 자연히 부딪쳐 깨져서 소리가 나듯 척척 들어맞으며 곧장 깨어나 나가게 된다.” 그렇다. 가는 인연 붙잡지 말고 오는 인연 마다하지 않으면 그만이다. 그러니 먼지 쌓인 옛것을 찾아 낡고 헤진 지금의 앞모습을 보려 애쓰지 말고 그 시절 그 인연이 만든 흔적을 그저 소중히 묻어 둔 채 앞으로 곧장 가는 게 서로 뒷모습이 된 이들의 길이 아닐까 한다.
그 시절, 그 흔적, 그 기억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으니 말이다.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예전에 살던 집이 궁금해 기억을 더듬어 찾아간 적이 있다. 무심한 세월에 집 전체가 폐허가 됐다. 월세 살던 단칸방 툇마루는 주저앉았고, 창호지가 너덜너덜한 문짝은 돌쩌귀가 떨어져 나가 삐딱하게 매달려 있었다. 호방하던 하사관 출신 바깥주인과 맛이 일품인 고추장 돼지고기를 숯불에 구워 주시던 안주인은 세상을 떠났고, 그 집 딸도 지천명의 나이로 계곡 옆에 작은 가게를 내고 행락객을 상대로 무얼 팔고 있었다. 서로 한눈에 알아봤지만 반가워하는 그녀나 나와 아내의 얼굴은 더이상 이십대가 아니었다. 현실이 기억과 부딪치는 낯선 순간이었다.
만사가 고요할 때면 시간과 공간, 사람이 서로 얽힌 옛것이 생각나곤 한다. 대부분 사라져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해도 헤지고 부서졌다. 알지 못하던 것들이 불현듯 나타나는가 하면 상상조차 않던 새로운 존재들이 생겨나 그들의 시간을 지배하고 공간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앞모습으로 다가온 것들은 어느새 뒷모습으로 사라지고 또 새로운 앞모습이 쉼없이 왔다 간다. 변치 말자며 손가락을 걸던 별처럼 반짝이던 시절을 생각하면 헛웃음이 난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한다”는 사실만 변하지 않을 뿐이다.
피천득은 수필 ‘인연’에서 열일곱 살 때 일본 도쿄에서 처음 만난 아사코의 기억을 떠올린다. 청순한 어린 소녀에 대한 회상이 애틋하다. “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백합같이 시들어 가는 그녀와의 마지막 만남에 대한 피천득의 회한이 하도 깊어 독자조차 한숨이 나올 지경이다.
희미해진 기억이 사실을 희롱할 때가 있다. 기억의 환상과 왜곡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고, 기억을 해체하고 포장한다. 기억이란 과거의 어느 시간과 공간, 거기에서 사람과 사물이 남긴 흔적이다. 그 흔적은 기억의 재생 과정에서 보태고 덜어지면서 상상의 세계에 빠지기 일쑤다.
그날 어렵사리 찾은 이십대 시절 흔적은 폐허로 다가와 나의 소중한 추억을 송두리째 빼앗고 말았다. 피천득이 만난 아사코가 그랬듯이….
시절인연. 명나라 승려 운서주굉의 말이다. “시절인연이 도래하면 자연히 부딪쳐 깨져서 소리가 나듯 척척 들어맞으며 곧장 깨어나 나가게 된다.” 그렇다. 가는 인연 붙잡지 말고 오는 인연 마다하지 않으면 그만이다. 그러니 먼지 쌓인 옛것을 찾아 낡고 헤진 지금의 앞모습을 보려 애쓰지 말고 그 시절 그 인연이 만든 흔적을 그저 소중히 묻어 둔 채 앞으로 곧장 가는 게 서로 뒷모습이 된 이들의 길이 아닐까 한다.
그 시절, 그 흔적, 그 기억은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으니 말이다.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2024-09-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