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붕우의 뒷모습 세상] 봉우리

[이붕우의 뒷모습 세상] 봉우리

입력 2024-07-31 03:28
수정 2024-07-31 0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봉우리는 산에서 높고 뾰족하게 솟은 곳이다. 사람들은 시시때때로 산봉우리를 오른다. 발아래 펼쳐진 풍경이 좋아서, 건강에 좋다고 해서, 소원을 이루려고, 혹은 명예를 위해 오른다. 그 희열이 짜릿하고 웅장해 어떤 이는 목숨을 걸기까지 한다. 사람들은 세상의 권력, 돈, 명예에도 산봉우리와 같은 높은 목표가 있다고 믿는다. 좁고 험준해서 아무나 오를 수 없기에 더 오르고 싶어 한다.

열아홉 살 때 1054m 높이의 속리산 문장대를 가죽신 끈을 동여매고 친구와 둘이서 뛰듯이 올라간 적이 있다. 산마루는 넓었고 큰 암석이 하늘 높이 치솟아 흰 구름과 맞닿은 듯 절경을 이루었다. 충북 보은과 경북 상주를 가르는 경계다. 정상에 서서 더운 심장으로 아래를 굽어보니 작은 산봉우리들이 펼쳐졌다. 더 높은 봉우리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 후에 본 세상에는 그보다 높은 산봉우리들이 셀 수 없이 많았다.

지천명의 나이에 4158m 높이의 스위스 융프라우를 암벽 속을 달리는 산악 열차를 타고 오른 적이 있다. 바위를 뚫은 인간의 투지가 놀랍고, 눈앞에 펼쳐진 만년설이 장관이었다. 전망대에서는 멀리 독일까지 보였다. 하지만 잠시 뒤 산소가 부족해 두통을 호소하는 일행이 나타났다. 오래 머무를 곳이 못 됐다. 인류의 진화 지점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시인이자 작곡가, 가수, 극단 대표로 활동하며 ‘쟁이’라 불리기를 좋아했던 김민기씨가 별세했다. 우리 시대의 뒤를 위로했던 그의 노래 ‘봉우리’는 이렇게 말한다. “허나 내가 오른 곳은 그저 고갯마루였을 뿐.” 누구나 저마다의 봉우리를 오르고자 한다. 누구는 끝내 오르고 누구는 그러지 못한다. 노래는 또 웅얼거린다. “높은 곳엔 봉우리는 없는지도 몰라. 그래 친구여 바로 여긴지도 몰라. 우리가 오를 봉우리는.”

인생길에는 애초부터 봉우리가 존재하지 않는지도 모른다. 그저 우리가 산을 빗대어 좁고 높은 곳을 봉우리라 부르고 그곳을 오르길 좋아할 뿐이다. 그러니 높은 지위에 올랐다고, 명예를 드높였다고, 돈을 많이 모았다고 인생의 봉우리에 올랐다고 내세우는 건 착각일 수 있다.

인생은 과정이다. “오늘을 살라. 어제는 이미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 시인 괴테의 말이다. 인생은 산 정상을 오르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밟고 내일로 천천히 내려가는 여정이 아닐까? 물처럼 흐르다 만난 야트막한 동산과 맑은 계곡과 들판, 젊음의 절정에서 성숙과 노쇠로의 여정에서 만난 뭇사람들과의 인연과 이별. 그런 것이 아닐까?

그전에는 앞에 선 봉우리가 높이 보였지만 지금은 낮은 봉우리들만 보인다. 반대로 뒤를 돌아보면 봉우리가 높이 솟아 있다. 산에서 내려올 때 그때처럼 말이다.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 삶은 좁고 뾰족한 봉우리에 있지 않다. 사람들과 함께 어깨를 부딪치며 한껏 떠들어도 숨쉬기 편한 지금 여기 인간의 높이와 공간, 거기서 아웅다웅 사랑하고 미워하며 서로의 행복을 찾아가는 인간의 사회적 지점에 있다.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이미지 확대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이붕우 작가·전 국방홍보원장
2024-07-3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