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여정의 아침 산책] 다빈치와 김수근의 나선계단

[최여정의 아침 산책] 다빈치와 김수근의 나선계단

입력 2024-06-12 01:16
수정 2024-06-12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침 사슴들의 짯짓기 철에 오셨네요.” 성큼성큼 앞서가던 숙소 안내인이 나를 돌아보더니 빙긋이 웃으며 말했다. 이른 저녁을 먹고는 까무룩 잠이 들었다. ‘또르르르륵, 또르르르르륵’ 뱃속을 울리며 끓어오르는 듯한 소리에 잠이 깼다. 동트기 전 숲은 신비로운 푸른 안개를 베일처럼 두르고 이방인을 유혹한다. 숲 사이 오솔길로 한 발을 내디디니 또다시 ‘또르르르르륵’, 이윽고 백여 마리가 일제히 응답하는 소리에 나무둥치가 진동한다.

프랑스 파리에서 두 시간여를 달려 도착한 곳은 샹보르성. 울창한 숲 사이로 난 길을 한참이나 달리니 저 멀리 우아한 첨탑으로 장식한 성의 모습이 서서히 드러난다. 샹보르성은 루브르 궁전, 베르사유 궁전과 함께 프랑스 3대 궁전으로 손꼽히지만 그 쓰임새가 달랐다. 파리의 관광명소이자 파리 외곽의 작은 마을에 지어진 베르사유 궁전은 태양왕 루이 14세가 루브르에서 이곳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권력의 중심지가 됐다. 하지만 샹보르성은 정치의 중심지 파리에서 서남쪽으로 240㎞나 떨어진 곳에 지어졌다. 무려 1700만 평에 이르는 요새 같은 숲을 달려야 도착하는 이곳은 왕의 사냥터였을 것이라 추측하지만 정확한 용도는 지금도 밝혀지지 않았다.

1515년 이탈리아 정벌을 마친 프랑수아 1세는 프랑스로 돌아와 이탈리아 건축양식을 도입한 전례 없는 규모의 성을 짓기로 결심한다. 성의 비범한 건축 디자인과 설계의 주인공은 프랑수아 1세가 모셔온 특별한 손님, 레오나르도 다빈치였다. 로마 성베드로성당을 연상시키는 이국적이고도 아름다운 성의 외관도 특별하지만, 사실 다빈치의 비밀스러운 설계는 따로 있다. 성의 중앙에 설치된 이중 나선계단이다. 서로 겹치면서 겉으로 내비치는데도 올라가고 내려가는 사람이 서로 보이지 않는 나선계단은 성의 가장 높은 탑의 테라스까지 이어진다. 음모와 모략이 넘쳐 나는 비밀스러운 왕궁에서 서로 마주치지 않는 계단은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획기적인 설계였을 것이다.

‘현대 건축의 버팀목’으로 추앙받는 1세대 건축가 김수근 역시 그가 설계한 많은 건축물에 나선계단을 남겨두었다. 훗날에야 김수근이 설계했다고 알려진 ‘고문공장’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에도 나선계단이 있다. 1층에서 취조실이 있는 5층으로 곧바로 이어지는 계단이었다. 끌려온 피해자들은 두 눈이 가려진 채 양팔을 수사관들에게 붙들려 가파른 계단을 돌아돌아 올라가는 동안 극도의 불안감과 공포감에 휩싸였다. 그 장면은 연극 ‘미궁의 설계자’에서 그대로 재연된다. 김수근은 끝내 남영동 대공분실 건물 어디에도 자신의 이름을 남겨 놓지 않았다. 공연이 끝난 뒤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의 로비 뒷문이 열렸다. 김수근이 건축한 아르코예술극장에도 나선계단은 있었다. 고문 끝에 죽음에 이른 어느 대학생이 느꼈을 공포 대신 나는 어지럼을 느끼며 계단을 밟아 올랐다. 6월의 햇살이 쏟아지는 마로니에 공원 벤치에 앉아 붉은 벽돌의 극장을 바라본다. 건축은 사람을 담는다. 김수근은 진정 몰랐을까, 한 번 올라가면 내려올 수 없었던 대공분실의 그 나선계단을.

최여정 작가

이미지 확대
최여정 작가
최여정 작가
2024-06-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