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여정의 아침 산책] 강진으로 향하는 마음/작가

[최여정의 아침 산책] 강진으로 향하는 마음/작가

입력 2024-01-03 02:15
수정 2024-01-03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여정 작가
최여정 작가
강진으로 향하는 길은 멀었다. 갑자기 찾아온 추위에 더해 강진에는 드물게 큰 눈이 내려 쌓였다. 지난 연말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의 ‘강진순례길’에 동행했다. 강진은 꼭 이십 년 만이었다. 이십대에 찾았던 다산초당에서 나는 ‘경세유표’, ‘목민심서’ 등 502권의 책을 펴냈다는 다산의 놀라운 업적에만 눈길이 갔다. 하지만 사십대가 돼 다시 강진을 찾으니 억울하게 이 머나먼 땅으로 유배를 내려온 다산의 비통한 마음, 그를 도왔던 마을 주막 할머니의 안타까운 마음, 다산과 벗이 됐던 백련사 주지 스님의 우정의 마음, 그리고 대학자를 스승으로 모셨던 제자들의 존경의 마음, 그 마음들을 비로소 돌아볼 수 있게 됐다. 그러니 모든 장소와 길들이 더욱 특별해졌다.

1801년 11월 23일 다산은 지독한 멸족지화를 당하고 강진으로 온다. 날은 어둑해지고 찬바람도 불고 허기까지 몰려오는데, 누구도 문을 열어 주지 않았다. 그런데 단 한 곳, 마을 동쪽 입구의 주막 할머니가 다산을 맞이했다. 아욱국에 밥 한 그릇을 말아 먹고, 다산은 그날부터 주막 골방에서 4년을 지내게 되는 인연을 맺는다.

겨울 내내 방 구석에 틀어박혀 분노와 억울함으로 치를 떨며 지내던 다산에게 “어찌 그냥 헛되이 사시려는가, 제자라도 기르셔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깨우침을 준 것도 주막 할머니였다. 그는 순간 밖으로 향하던 모든 원망을 접고 ‘내가 잘못한 것은 없는지’,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면서 생을 다시 살게 된다. 방문을 열어 보니 어느새 사방은 봄이었다. 그리고 이 골방을 ‘사의재’(四宜齋)라 이름 붙인다. 사의재란 ‘네 가지를 마땅히 해야 할 방’이라는 뜻으로 맑은 생각과 단정한 용모, 과묵한 말씨, 신중한 행동을 의미한다.

강진에서 가장 아름다운 길은 다산초당에 기거하던 정약용과 백련사 주지 혜장 스님이 손을 잡고 걸었다던 만덕산의 오솔길이었다. 두 사람이 어깨를 비비며 나란히 걸을 정도의 오솔길에 쌓인 흰 눈 위에는 이르게 피었다 떨어진 동백꽃잎이 길 잃어 다친 산짐승이 흘린 핏방울처럼 점점이 떨어져 있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이야기를 나누는 다산과 스님의 뒷모습이 길 위로 스친다.

유배 생활이 길어질수록 다산은 미움도 분노도 서서히 옅어졌다. 하지만 우정을 나눌 벗이 간절했다. 지식을 나누며 이야기할 수 있는 벗이 바로 혜장 스님이었다. 다산은 어두운 밤 산길을 더듬어 불쑥 찾아오던 스님을 기다리다가 방문을 열어 두고 잠들곤 했다. 사실 다산의 업적으로 기록된 502권의 책도 다산초당에서 그의 곁을 지킨 18명의 제자와 함께 펴낸 것이니 다산 혼자만의 일이 아니었다. 결국 다산을 유배지에서 18년 동안 살게 한 건 쌓여 있던 책도, 가족들과 주고받던 서신도 아니었다. 강진 땅에서 만난 사람들이었다.

한 사람을 살게 하는 건 네가 있어서다. 서로를 향한 마음이 있어서다. ‘고도를 기다리며’의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가 오지 않을 고도를 끝까지 기다릴 수 있었던 이유는 지금 내 곁에 네가 있기 때문이다. 2024년 새해 내 곁의 네가 내 생의 이유이고 희망이다.
2024-01-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