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현일 영등포구청장
주택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 소유하는 공간이 아닌 거주하는 공간이다. 주택 소유 여부를 떠나 모든 국민에게 주거권은 마땅히 누려야 할 가장 기본적인 복지라고 생각한다.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이어져 온 영등포역 인근 쪽방촌은 기존의 재개발과 달리 쪽방 주민의 주거와 복지를 함께 보장하는 개발을 추진해 주거·상업·복지 기능을 두루 갖춘 살기 좋은 공공주택단지로 변신할 것이다.
예전부터 이주 대책 미비 등으로 난항을 겪었던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근본적 해법을 마련하고자 영등포구는 민선 7기 출범 이후 남다른 각오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상생과 소통으로 50년 숙원인 영중로 보행환경 개선을 이뤄 냈듯 이곳 쪽방촌에도 소통과 상생으로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다는 확신을 가졌다.
방향이 정해지자 속도는 거침없었다. 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쪽방촌 정비 건의를 시작으로 중앙정부 등 유관기관과 지속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갔다. 그 결과 12월에는 국토교통부·서울시·영등포구·LH·SH 공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정비 계획을 구체화했고, 올해 1월 ‘영등포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공식 발표했다. 그리고 7월 쪽방촌 공공주택 사업이 공공주택지구로 최종 지정됨으로써 영등포구는 LH, SH와 공동사업시행자로서 이를 본격 추진하게 됐다.
그간 1.5평 남짓한 공간에서 생활고를 겪던 쪽방 주민들은 기존 쪽방보다 2~3배 넓은 공간을 현재 2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평균 22만원→3만 2000원)로 제공받게 된다.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은 영중로 노점 정비에 이은 도심 재개발로 서남권 종가의 옛 명성을 되찾고 영등포 제2의 르네상스를 열어 가게 될 것이다. 포용적 주거복지 모델로 자리잡을 쪽방촌 정비사업이 전국 쪽방촌 10곳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0-10-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