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양천구청장
보건소는 일상 업무를 중단하고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상황이 지속될수록 일상 업무에 대한 공백도 문제로 드러나고 있다.
보건소는 1950년대 결핵 등 전염병 예방을 시작으로 1990년대에는 각종 질병 예방과 진료로 그 기능이 확대됐으며, 2015년 지역보건법이 전부 개정되면서 ‘특정 연령’이 아닌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생애 주기별 건강관리 사업을 실시하게 됐다.
이렇듯 지역의 공공의료기관인 보건소에서 감염병 대응은 물론이고 임신·출산·육아에 대한 모성 관련 사업부터 노인 질병까지 주민의 생애 전반을 케어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늘어나는 건강사업을 모두 추진하기에 보건소 시설은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양천구만 해도 사무공간이 부족해 복도, 계단 인근 공용 부분까지 가림막을 두고 업무를 하고 있다.
이번에 코로나19가 발생하고 나서는 주차장에 임시음압텐트를 설치해 선별진료소로 운영하고, 컨테이너를 빌려 대기실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양천구뿐이겠는가. 교차 감염의 걱정 없이 보건소의 각 시설을 이용하는 주민의 동선이 완전히 분리돼 있고, 또한 전염병에 대비한 음압시설 등이 설치된 선별진료소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곳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3곳에 불과하다. 이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게다가 각 보건소가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를 축소하거나 중단하면서 주민들을 위해 운영하던 각종 건강 프로그램 등이 중단돼 주민들의 불편은 점점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처하면서도 공공의료 기능이 멈추지 않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대응 계획이 필요한 시점이다.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발생 주기가 2년일지, 5년일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렇기에 그 대비를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할 것이다.
2020-03-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