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쓰레기집, 기이한 행동 아닌 사회문제입니다/손지민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쓰레기집, 기이한 행동 아닌 사회문제입니다/손지민 사회부 기자

손지민 기자
입력 2021-10-12 20:54
수정 2021-10-13 0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손지민 사회부 기자
손지민 사회부 기자
‘충격! 이런 일이! 5t 쓰레기더미 속에 사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잡동사니와 생활쓰레기를 쌓아 두고 사는 집을 ‘특이한 사람의 기이한 행동’으로 다뤄 왔다. 신기한 사연을 소개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시청자들의 놀라움을 자아내는 괴짜 노인의 일 정도로 취급했다. 그러나 쓰레기집은 특정 세대나 괴상한 소수에게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우울증·무기력증·외로움 등 심리적으로 아픔을 겪는 누구나 마주할 수 있는 일이다.

쓰레기집이 기이한 현상으로 인식되는 사이 쓰레기집 거주자들은 집 안으로 꼭꼭 숨어 버렸다. 서울신문이 229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에 정보공개청구를 신청해 집계한 결과, 2018년부터 올해 3월까지 지자체가 파악하고 있는 쓰레기집 의심 가구는 1350곳으로 드러났다. 쓰레기집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쓰레기집에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신문이 보도한 ‘쓰레기집에 사는 사람들’ 기획기사에 실린 쓰레기집 사례 5건 중 3건은 지자체에서 파악하지 못한 사례였다.어렵사리 쓰레기집을 발굴해도 이들을 세상 밖으로 끌어내기란 쉽지 않다. 청소를 도와주겠다고 설득해도 거주자들이 거절하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 집이 쓰레기집이라는 사실이 이웃에게 알려질까 봐’서다.

중앙 정부는 쓰레기집을 사회문제로 보지 않는다. 쓰레기집 현상이 최근 2~3년 사이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을 고려하면 갈 길이 멀다. 쓰레기집 안에는 우리 이웃들의 아픔이 있다. 아동학대, 고독사, 극단적 선택 등 범죄 및 사망 사건으로 연결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지만 국가는 쓰레기집 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 실태조사는커녕 저장강박 유병률조차 집계하지 않는다.

논의를 더는 미뤄선 안 된다. 국가가 사적 공간인 개인의 주거공간에 개입할 수 있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공적 지원은 어느 선에서 이뤄져야 하는지, 지원이 필요한 쓰레기집 기준은 무엇인지 등 정할 것이 한둘이 아니다. 1인 가구 비중이 처음으로 40%를 넘어서고 코로나19로 본격적인 비대면 소통시대에 진입한 상황에서 쓰레기집은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다. 외면과 무관심이 능사가 아니란 얘기다.

2021-10-1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