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급여 반납보다 소비운동 먼저/김동현 경제부 기자

[오늘의 눈] 급여 반납보다 소비운동 먼저/김동현 경제부 기자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20-03-25 22:02
수정 2020-03-26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동현 경제부 기자
김동현 경제부 기자
세종시 도담동 A식당의 지난주 매출은 30만원이 조금 넘었다. 코로나19로 손님이 뚝 끊겨서다. 방송을 보니 사람들이 식당은 안 가도 배달음식은 많이 시킨다고 해서 지난주부터 배달도 시작했다. 하지만 홍보가 덜 된 탓인지 하루 주문이 2~3건 수준이다. 정부에서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책을 내놓았지만 그에게 주문보다 반가운 것은 없다.

코로나19로 나라 경제가 어려움에 빠지자 문재인 대통령과 장차관들이 4개월간 월급의 30%를 반납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의 올해 연봉은 수당을 제외하고 2억 3091만원.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1924만원이다. 이를 4개월간 30% 반납하면 약 2309만원이다. 장관들이 내놓는 월급까지 더하면 십수억원쯤 된다. 이 돈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곳에 쓰일 예정이라고 한다. 윗선에서 월급을 반납하니 아래도 난리다. 고위 관료의 급여 반납 소식에 정부 산하기관과 공기업들도 앞다퉈 급여 반납에 나섰다. 1997년 외환위기 때 ‘금 모으기’의 기억 때문일까. 고위직의 월급 반납에 국민들은 박수를 보낸다.

하지만 이런 고위직의 월급 반납이 아래까지 영향을 줄까 우려스럽다. 지금의 경제 위기는 코로나19로 인해 소비가 ‘빙하기’를 맞아서 비롯됐다. 정부가 경기 대응을 위해 오는 6월까지 신용카드와 현금영수증 소득공제율을 두 배로 올리고, 고효율 전자제품 구매 때 돈을 되돌려 주고, 6월 대규모 세일을 계획하는 것도 결국 소비 활성화를 돌파구로 봤기 때문이다. 즉 소비를 늘려야 하는 시기라는 뜻이다.

그런데 월급 반납이 공직사회와 공기업 전체로 확산되면 소비는 더 위축될 수밖에 없다. 월급 반납이라는 고위직의 ‘선의’가 소비 감소라는 나쁜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때문에 ‘높으신 분’들께 권한다. 굳이 월급 반납이라는 형식을 취하지 말고 좋은 곳에 돈을 쓰시라. 꼭 현장을 찾아갈 필요는 없다. 배달도 있지 않은가. 방역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에게 특식을 보내고, 개학 연기로 집에만 있는 결식 우려 아동들에게 간식도 보내자. ‘월급 반납에 동참하자’고 직원들에게 눈치 주지 말고, 소비에 돈을 쓰는 모범을 보이자. 결국 우리 경제의 봄은 A식당이 다시 바빠지는 것 아니겠는가. 지금 필요한 것은 월급 반납이 아니라 소비 운동이다.

moses@seoul.co.kr

2020-03-2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