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차피 원장이나 행장은 낙하산 타고 내려오니까,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해 봐야 부원장 아니면 부행장까지거든. 그게 뻔히 보이는데 굳이 여기에 승부를 걸 필요가 있을까 싶은 거지….”
대학가에서 우연히 취업 준비생 둘이 나누는 얘기를 들었다. 금융권 A매치(공기업 공채) 지원자인 듯했는데 금융권과 다른 길을 놓고 고민 중이란 내용이었다. 순간 ‘어디 부원장 되기는 쉬운가’ 싶다. 하지만 이날 취준생들의 고민이 그들이 들어갈 조직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직원들이 비전을 품지 못하는 조직에 어떤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까. 우리 금융산업의 경쟁력을 걱정해야 하는 이유는 여기서 시작된다.
인사 시즌이면 으레 관피아, 낙하산 기사가 쏟아져 나온다. 금융기관 수장은 물론이고 감사와 민간 협회 임원 자리까지 관련 업무 경험이 없어도 경제 전문가로 뭉뚱그려 내려오기가 예삿일이다. 한 해에도 수차례씩 낙하산 논란이 반복되다 보니 이제는 이를 문제 삼는 게 진부하게 여겨지기까지 한다. 언론의 공세에도 기사는 기사이고, 인사는 인사다. 한두 달 뒤엔 결국 올(오기로 한) 사람이 오는 것을 보면서 관치와 낙하산 인사는 우리 금융 산업에 티눈처럼 박혀 도려내기 어려운 관행이라는 사실을 실감했다.
금융 당국은 지난 2년 동안 ‘금융개혁’을 외치며 제법 굵직한 과제들을 해결했지만, 현 지점에서 보면 성공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23년 만에 새 은행 탄생을 예고하며 인터넷 전문은행을 인가하고,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로보어드바이저, 중금리 대출상품 등을 내놓는 등 각종 금융 서비스를 늘리고 개선했음에도 국민들이 개혁을 체감하지 못한 이유다. 금융개혁의 마지막 과제였던 성과주의 역시 취지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직원에게 공감을 얻지 못한 것은 개혁의 초점이 몸통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은행에 다니는 한 지인은 “자기들은 재대로 된 평가조차 없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면서 아래에는 성과주의하겠다며 직원 월급을 차등화한다는데 그걸 성과주의로 믿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애초에 금융개혁은 여기서 시작해야 했다. 조직을 수동적으로 만들고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관치와 낙하산 인사부터 개혁했더라면 더 많은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올 연말과 내년 초에는 금융권 수장들의 인사가 몰려 있다. 수개월 전부터 현 정권에 지분을 갖고 있던 자들이 줄을 섰다는 소문이 파다하게 들렸다.
다행인지 몰라도 최순실 사태로 최근 이런 얘기가 쑥 들어갔다. 대신 청와대 인사 검증이 이뤄지지 않아 금융권 인사가 올스톱됐다는 얘기가 나온다.
금융권은 지금을 낙하산을 뿌리 뽑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제2의 최순실은 언제든지 다시 나타날 수 있지만 투명한 절차와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 지금과 같은 사태는 막을 수 있다. 금융의 인사 시스템은 비선으로부터 과연 안전한지 점검할 때다.
yashin@seoul.co.kr
신융아 금융부 기자
인사 시즌이면 으레 관피아, 낙하산 기사가 쏟아져 나온다. 금융기관 수장은 물론이고 감사와 민간 협회 임원 자리까지 관련 업무 경험이 없어도 경제 전문가로 뭉뚱그려 내려오기가 예삿일이다. 한 해에도 수차례씩 낙하산 논란이 반복되다 보니 이제는 이를 문제 삼는 게 진부하게 여겨지기까지 한다. 언론의 공세에도 기사는 기사이고, 인사는 인사다. 한두 달 뒤엔 결국 올(오기로 한) 사람이 오는 것을 보면서 관치와 낙하산 인사는 우리 금융 산업에 티눈처럼 박혀 도려내기 어려운 관행이라는 사실을 실감했다.
금융 당국은 지난 2년 동안 ‘금융개혁’을 외치며 제법 굵직한 과제들을 해결했지만, 현 지점에서 보면 성공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23년 만에 새 은행 탄생을 예고하며 인터넷 전문은행을 인가하고,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로보어드바이저, 중금리 대출상품 등을 내놓는 등 각종 금융 서비스를 늘리고 개선했음에도 국민들이 개혁을 체감하지 못한 이유다. 금융개혁의 마지막 과제였던 성과주의 역시 취지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직원에게 공감을 얻지 못한 것은 개혁의 초점이 몸통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은행에 다니는 한 지인은 “자기들은 재대로 된 평가조차 없이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면서 아래에는 성과주의하겠다며 직원 월급을 차등화한다는데 그걸 성과주의로 믿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애초에 금융개혁은 여기서 시작해야 했다. 조직을 수동적으로 만들고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관치와 낙하산 인사부터 개혁했더라면 더 많은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올 연말과 내년 초에는 금융권 수장들의 인사가 몰려 있다. 수개월 전부터 현 정권에 지분을 갖고 있던 자들이 줄을 섰다는 소문이 파다하게 들렸다.
다행인지 몰라도 최순실 사태로 최근 이런 얘기가 쑥 들어갔다. 대신 청와대 인사 검증이 이뤄지지 않아 금융권 인사가 올스톱됐다는 얘기가 나온다.
금융권은 지금을 낙하산을 뿌리 뽑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제2의 최순실은 언제든지 다시 나타날 수 있지만 투명한 절차와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 지금과 같은 사태는 막을 수 있다. 금융의 인사 시스템은 비선으로부터 과연 안전한지 점검할 때다.
yashin@seoul.co.kr
2016-11-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