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근 사회2부 기자
짐작건대 이처럼 건조한 투로 쓰였을 초동 수사 보고서만 살펴보면 ‘구의역 사고’는 사회부 사건기자가 크게 주목할 내용이 아니었다. 언론사가 특정 사안을 뉴스로 다룰지 판단하는 가치 척도, 즉 ‘뉴스밸류’가 떨어진다는 얘기다. 한국 사회에서 매일 대략 80명(2014년 기준)이 산업현장 등에서 사고로 숨진다.
‘구의역 사고’는 인명 피해 규모가 크지 않았고 사고 상황이 이례적인 것도 아니었다. 사건을 키운 건 대중 감수성을 뒤흔든 몇 가지 열쇳말이었다. 점심 먹을 시간이 없어 뜯지도 못한 찌그러진 사발면, 고교를 막 졸업한 19살 비정규직 정비공, 144만 6000원인 쥐꼬리 월급, 언제 잘릴지 몰라 쉬는 날 또래 정비공과 피켓 시위를 했다는 증언 등. “아들에게 ‘책임을 가지고 상사 말을 잘 들으라’고 얘기했던 게 후회스럽다”던 김군 어머니의 절절한 고백도 시민들의 가슴에 불을 지폈다. 성난 여론에 떠밀린 뒤에야 언론과 정치권, 서울시가 사건을 꼼꼼히 들여다봤고 ‘메피아’(메트로+마피아·서울메트로 출신으로 하청업체에서 일하는 전적자) 등 구조적 문제를 밝혀냈다.
연민, 공감, 그리고 감수성. 최근 국내외에서 여론 주목도가 높았던 사건을 살펴보면 현시대 대중이 이 가치들에 얼마나 민감히 반응하는지 알 수 있다.
특히 인적관계망(SNS)을 통해 일상과 감정을 쉽게 공유하게 되면서 공감 능력은 인간 관계의 필수 요소가 됐다. 서울 강남역 인근 화장실 살인 사건은 “일상적 폭력에 노출된 이 땅에서 나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고 느낀 20~30대 여성들의 공감을 샀고 ‘성인지 감수성’이라는 화두를 던졌다.
세상살이가 점점 퍽퍽해지면서 역설적으로 공감과 감수성이 더 중요해졌지만 우리 사회를 디자인하는 고위 공직자 의식은 시대 흐름을 좇지 못하는 듯하다. 언론과의 식사 자리에서 민중을 ‘개돼지’에 비유했던 나향욱 교육부 정책기획관이 “구의역에서 죽은 아이가 가슴 아프지 않은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내놨다는 답은 소름 끼치도록 상징적이다. “그게 어떻게 내 자식처럼 생각되나. 그렇게 말하는 건 위선이다.”
고위 공직자 대부분이 나 기획관 수준의 저급한 감수성을 가졌을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 다만, 그들의 공감 능력이 특별히 뛰어날 것 같지는 않다. 한 인간의 인격과 감수성은 살며 만나고 겪은 경험의 합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그렇게 유추해 볼 만하다. 자신이 만드는 정책의 수요자, 이 가운데 어려움 겪는 소외 계층과 수시로 만나 진솔하게 대화하는 고위 공직자가 얼마나 될지, 취재 현장에서 경험한 바에 따르면 회의적이다.
‘공복’(公僕). 공직자는 시민을 주인 삼는 심부름꾼 혹은 ‘종’이라는 뜻이다. 이 표현이 그저 입에 발린 게 아니라면 고위직 공무원일수록 가장 밑바닥의 정책 수요자를 만나 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한다. 공감 능력의 회복이야말로 공직 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는 첫걸음이 될 테다.
dynamic@seoul.co.kr
2016-07-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