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영국과 한국 핀테크 무엇이 다른가/신융아 금융부 기자

[오늘의 눈] 영국과 한국 핀테크 무엇이 다른가/신융아 금융부 기자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06-07 18:20
수정 2016-06-07 19: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융아 금융부 기자
신융아 금융부 기자
최근 매주 월요일마다 나오는 서울신문 기획 시리즈 ‘금융 보는 눈 바꿔야 국가경제가 산다’의 해외 금융 개혁 사례를 취재하기 위해 영국 런던을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 국내 금융 기관들도 많이 진출해 있는 데다 정부도 금융개혁과 핀테크를 금융 분야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고 영국의 여러 가지 정책들을 벤치마킹하고 있던 터라 무난하게 취재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하지만 두 달 전부터 메일을 보내고 협조 요청을 했음에도 핀테크 기업 관계자를 만나 인터뷰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우리 정부의 현지 네트워크가 이다지도 약했나 싶어 실망스럽기도 했다.

마침내 현지에 도착해 직접 핀테크 기업과 금융권 사람들을 만나 보니 이해되는 부분이 있었다. 사업 초기 단계인 대부분의 핀테크 기업들은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다. 유럽 최대의 핀테크 육성 기관인 레벨39를 방문해 가까스로 핀테크 기업 두 곳과 인터뷰를 할 수 있었다. 사전에 인터뷰 요청을 여러 차례 보냈으나 끝내 인터뷰 확정을 하지 못한 채 간 것이었다. 핀테크 기업을 소개해 준 레벨39 관계자는 “정부나 육성 기관인 우리가 얘길 해도 비즈니스 차원이 아니면 시간을 잡는 게 쉽지 않다”면서 “철저히 비즈니스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귀띔했다. 런던 카나리워프 가장 중심에 레벨39의 공간을 마련한 것 역시 바쁜 핀테크 기업들이 5분 내 글로벌 금융사까지 닿을 수 있고 최신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 비즈니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차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떤가. 핀테크지원센터는 금융권이 모여 있는 서울 여의도나 비즈니스지구인 강남도 아닌 경기 성남에 있다. 금융사 본점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30분 이상 차를 타고 나가야 한다. 성남에는 대신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많다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 정보 면에서나 금융권 생태계 조성에서는 그만큼 멀어졌다. 경기창조혁신센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무적 고려가 없었다고 할 수 없다.

지난 일이지만 이런 일도 있었다. 지난해 국내에 레벨39와 같은 핀테크 육성 기관을 세우겠다는 계획으로 에릭 밴 더 클레이 엔틱 대표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다. 언론을 통해 국내에 핀테크 육성 기관을 설립한다는 계획이 먼저 나가게 되자 금융 당국으로부터 강한 항의가 들어왔다. 다음날 금융위원회가 핀테크 데모데이 때 발표할 사안을 먼저 공개해 버렸다는 것이다. 영국에서 온 핀테크 관계자들은 이런 것까지 당국과 논의해야 하냐며 이해할 수 없어 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재정경제부에 있을 때 3년 가까이 영국에 주재하며 영국의 금융 정책에 큰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계좌이동제, 인터넷 전문은행,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규제 샌드박스 등 우리가 벤치마킹하고 있는 영국 사례만 해도 한두 가지가 아니다. 런던에서 만난 핀테크 창업자들은 “영국도 원래는 보수적인 나라 아닌가. 금융개혁은 레거시(legacy·관습)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라며 두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 하나는 비즈니스(돈)가 되는가, 또 다른 하나는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는가이다.

yashin@seoul.co.kr
2016-06-08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