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합동참모본부는 “올해 개성공단 송전선로 구간 등의 지뢰 제거 작업 결과 총 7700여발의 지뢰를 제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5년 동안 민통선 이남 미확인 지뢰 지대 총 17곳 중 7곳에서 지뢰 제거가 완료됐다.
#2. ‘통일냄비’ 1000세트가 군사분계선을 통과해 오후 6시쯤 서울 시내 백화점에 도착했다. 2개에 1만 9800원으로 한국산의 절반 가격이다. 고가 시장에선 독일제에, 저가 시장에선 중국제에 밀려 맥을 못 추던 국내 브랜드 냄비가 모처럼 활로를 찾았다.
#3. 고려 수도였던 개성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시키려는 남북 공동학술토론회가 개성에서 열렸다. 문헌으로만 공부하던 남쪽 고려사 전공자들이 개성 유적을 직접 살폈는데, 특히 고려 태조 왕건의 능 내부도 볼 수 있었다.
이 기사들은 가상의 미래 기사가 아니다. 개성공단 가는 길목 지뢰를 제거했다는 기사는 2006년, 통일냄비 생산 기사는 2004년, 남북 역사교류 소식은 2005년의 뉴스다. 그러나 지금 정세에 비춰 보면 이 뉴스들은 한동안 생산될 길 없는 미래뉴스와 다름없다. 개성공단의 11년이 ‘과거 속 미래’라는 어중간한 역사로 매겨질지 허탈하다.
과거 속 미래라는 어중간한 시간 속에 개성공단의 현재를 살아 내던 기업들이 갇혔다. 정부는 긴급 금융지원을 약속했지만, 기업들은 “지원 대신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2013년 중단 당시 경험으로 정부의 지원 장담이 호언이 되기 십상이란 점을 알아서다. 그때 정부는 ‘연 2% 저금리 신용대출’을 홍보했지만, 기업들은 연대보증인을 세운 뒤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그나마 3년차인 올해부터 원금을 못 갚은 기업들은 연 10%대 사금융 수준 고금리를 적용받게 된다.
피해 보상 조치가 이뤄지더라도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피해액 산정 과정에서 전문집단의 협조를 받을 길은 요원할 것이다. 과거 한 민간연구소는 “개성공단이 문 닫으면 조성 비용과 입주 기업 매출 손실 등 남측의 직접 피해액이 5조 8000억원, 국가 신인도 하락에 따른 간접 피해액이 21조 3000억원”이라고 추정했지만, 이번 취재 과정에서 피해액 집계에 선뜻 나서려는 전문가를 찾기 어려웠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나 태안 기름유출 사건 피해자가 그랬듯이 정부나 기업을 상대하는 피해자들이 소송 과정에서 정부·기업에 얽매이지 않은 피해 감정 사례를 찾기가 거의 불가능했다는 현실이 떠오른 것이 비약은 아닐 것이다.
개성공단 설립 당시 이미 북한은 미국이 지정한 테러지원국이었기에 개성에 미국산 설비를 들이려 우리는 미국을 설득했다. 이때 미국 측에서 제시해 유명해진 게 빛의 남한과 어둠의 북한을 대비시킨 한밤중 한반도 위성사진이다. 사진은 남한 체제의 우수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삼면은 바다로, 나머지 한 쪽은 북으로 막혀 ‘빛의 섬’이 돼 버린 우리의 현실을 드러낸다. 대륙으로의 통로가 될 희망이던 개성공단이 사라진 날 입주 기업들의 허망한 이야기를 들은 뒤 우리 모두가 너무 불쌍해 기자도 조금 울었다.
saloo@seoul.co.kr
#2. ‘통일냄비’ 1000세트가 군사분계선을 통과해 오후 6시쯤 서울 시내 백화점에 도착했다. 2개에 1만 9800원으로 한국산의 절반 가격이다. 고가 시장에선 독일제에, 저가 시장에선 중국제에 밀려 맥을 못 추던 국내 브랜드 냄비가 모처럼 활로를 찾았다.
#3. 고려 수도였던 개성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시키려는 남북 공동학술토론회가 개성에서 열렸다. 문헌으로만 공부하던 남쪽 고려사 전공자들이 개성 유적을 직접 살폈는데, 특히 고려 태조 왕건의 능 내부도 볼 수 있었다.
홍희경 기자
과거 속 미래라는 어중간한 시간 속에 개성공단의 현재를 살아 내던 기업들이 갇혔다. 정부는 긴급 금융지원을 약속했지만, 기업들은 “지원 대신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2013년 중단 당시 경험으로 정부의 지원 장담이 호언이 되기 십상이란 점을 알아서다. 그때 정부는 ‘연 2% 저금리 신용대출’을 홍보했지만, 기업들은 연대보증인을 세운 뒤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그나마 3년차인 올해부터 원금을 못 갚은 기업들은 연 10%대 사금융 수준 고금리를 적용받게 된다.
피해 보상 조치가 이뤄지더라도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피해액 산정 과정에서 전문집단의 협조를 받을 길은 요원할 것이다. 과거 한 민간연구소는 “개성공단이 문 닫으면 조성 비용과 입주 기업 매출 손실 등 남측의 직접 피해액이 5조 8000억원, 국가 신인도 하락에 따른 간접 피해액이 21조 3000억원”이라고 추정했지만, 이번 취재 과정에서 피해액 집계에 선뜻 나서려는 전문가를 찾기 어려웠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나 태안 기름유출 사건 피해자가 그랬듯이 정부나 기업을 상대하는 피해자들이 소송 과정에서 정부·기업에 얽매이지 않은 피해 감정 사례를 찾기가 거의 불가능했다는 현실이 떠오른 것이 비약은 아닐 것이다.
개성공단 설립 당시 이미 북한은 미국이 지정한 테러지원국이었기에 개성에 미국산 설비를 들이려 우리는 미국을 설득했다. 이때 미국 측에서 제시해 유명해진 게 빛의 남한과 어둠의 북한을 대비시킨 한밤중 한반도 위성사진이다. 사진은 남한 체제의 우수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삼면은 바다로, 나머지 한 쪽은 북으로 막혀 ‘빛의 섬’이 돼 버린 우리의 현실을 드러낸다. 대륙으로의 통로가 될 희망이던 개성공단이 사라진 날 입주 기업들의 허망한 이야기를 들은 뒤 우리 모두가 너무 불쌍해 기자도 조금 울었다.
saloo@seoul.co.kr
2016-02-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