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고3 엄마의 여름/장형우 사회부 기자

[오늘의 눈] 고3 엄마의 여름/장형우 사회부 기자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8-11 23:46
수정 2015-08-12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스팔트에서 달걀 프라이가 익었던 1994년 이후 가장 더운 여름이지만, ‘고3 엄마’에게 바캉스는 없다. 대학 입시의 마지막 문턱을 넘기 위해선 여섯 번의 수시 전형 기회를 알차게 활용해야 하는데, 어느 대학 무슨 과에 어떤 전형으로 지원해야 아이에게 유리한지 알아보는 ‘정보전’은 대개 엄마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장형우 체육부 기자
장형우 체육부 기자
엄마는 아이의 학교생활기록부,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성적표, 얼기설기 써 놓은 자기소개서를 들고 이곳저곳을 돌아다닌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문에 무기한 연기됐던 대학과 교육청, 입시업체의 진학 설명회도 빼먹을 수 없다.

그런데 돌아다닐수록 힘은 빠지고 혼란스럽다. 누구도 “이 정도면 어느 대학 무슨 과에 충분히 갈 수 있다”, 또는 “이 부분만 어느 수준까지 끌어올리면 합격할 수 있다”고 확답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엄마는 아이가 가고 싶어 하는 대학들의 신입생 선발 반영 요소를 이미 달달 외고 있는데, 상담한다고 마주 앉은 담임 교사는 그제서야 진학 가이드북을 뒤적인다. 그러고는 정시로 충분히 갈 수 있는 대학, 학과를 수시에서 넣으라고 하니 속이 터진다.

그래서 ‘용하다’는 대입 컨설팅 업체를 찾지만, 예약도 꽉 찼고 비용도 만만찮다. 그래도 어쩌랴. “또 학원비냐”고 짜증 내는 남편을 “올해가 마지막이야”라고 설득한다.

정부는 해마다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내놓는다. 학원비를 줄여 주면 지지율이 올라갈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행학습금지법’(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을 만들기까지 했다. 하지만 학원에서의 선행학습은 못 막고, 학교에서만 막다 보니 법의 취지가 무색해졌다. 결국 방과후학교에서는 선행학습을 할 수 있게 한발 물러섰다. 물론 이 법의 효과로 학원비가 줄었다는 이를 본 적도 없다.

이번 일로 ‘사교육=악’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사교육이 강점을 보이는 부분을 제재하는 식의 접근으로는 사교육을 잡을 수 없고, 공교육 역시 정상화될 수 없다는 사실을 똑똑히 알 수 있었다.

이미 사교육은 연간 규모만 40조원이 넘는 ‘거대 시장’이다. ‘입시’를 매개로 형성된 이 시장의 수요자인 학생·학부모는 ‘인생’을, 공급자인 학원 등 사교육 기관은 ‘생존’을 걸고 만나 가격을 결정한다. 규제를 하려면 뚜렷한 목표와 적확한 수단을 갖춰야 하는 이유다. 어설프게 접근했다가는 부작용만 발생한다.

현행 입시제도가 고3 엄마를 고생시키고, 고3 아빠를 빈궁하게 만드는 근본적 이유는 ‘불안’이다. 입시를 정보전으로 만든 이 불안의 원인은 불투명한 정보 공개에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들이 어떤 학생이 합격하고, 어떤 학생이 떨어졌는지만 정확하게 공개하면 고3 학부모가 관련 컨설팅과 자기소개서 작성에 쏟아붓는 돈을 줄일 수 있다.

또 대학마다 학생부 분석 전문가인 입학사정관들이 있는데 자기소개서가 왜 필요한지도 잘 모르겠다. 대학의 자율성도 중요하지만, 사교육비 경감이 지상 과제라고 한다면 교육부가 이 정도는 강제할 수 있지 않을까.

zangzak@seoul.co.kr
2015-08-1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