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맞벌이 남녀의 딜레마/김동현 사회2부 기자

[오늘의 눈] 맞벌이 남녀의 딜레마/김동현 사회2부 기자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5-07-20 00:00
수정 2015-07-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동현 사회2부 기자
김동현 사회2부 기자
맞벌이를 하면서 어려운 것 중 하나가 아내와의 퇴근 시간 조절이다. 부모님이 아이를 봐주시는 덕분에 상대적으로 마음이 편하지만 퇴근 시간이 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출입처나 취재원과 저녁 약속이 있는 날이 아내의 야근날과 겹치게 되면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벌어진다. 부모님이 아이를 봐주는 시간이 길어지면 자연스럽게 눈치가 보인다. 이런 고민은 아이를 돌봐 주는 사람이 가족이 아니라 어린이집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만일 애라도 아프면 고민은 더 심해진다. 돈보다 시간을 벌어 오라는 맞벌이 부부의 요구는 절실하다 못해 처절할 때도 있다.

이런 상황은 단순히 부부간의 신경전을 넘어 직장 안에서의 신경전으로 이어진다. 육아에서 남성에 대한 역할이 강조되면서 남자들도 늦게까지 술자리에 남거나, 야근을 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낀다. 이런 남자들에게 아이를 보러 집에 일찍 가야 한다는 여성 동료는 얄미움의 대상이다. 하지만 이런 감정을 가정으로 대입시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자신의 아내는 야근이나 회식에서 빠져나와 빨리 집에 들어왔으면 하는 것이 또 남자들의 마음이다.

여성들도 다르지 않다. 남자 동료가 회식 때 부장과 함께 2차로 노래방도 가 주고, 야근이나 숙직을 할 때 먼저 나서 주면 좋겠다. 하지만 본인의 남편은 일찍 일찍 들어와 아이와 놀아 주고 청소도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남성의 사회생활이 우선시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대부분의 양보는 여성이 하게 마련이다. 맞벌이를 하고 있는 한 여성은 “지난해 드라마 ‘미생’을 보다 여성 차장이 아이를 어린이집에서 데리고 오는 문제로 남편과 다투는 장면을 보고 남의 일 같지 않았다”고 털어놨다.

현재 여성의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은 각각 49.5%, 51.3%다. 2009년 이후 남성을 앞지른 여성의 대학 진학률은 현재 74.6%를 기록하고 있다. 남성의 67.6%보다 약 8% 포인트나 높다.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더 활발해지고, 맞벌이도 더 늘어날 것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육아 문제에 대한 사회적 해결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부부간의 눈치 싸움과 직장에서의 남녀 동료 간의 갈등도 더 깊어지고 잦아질 것이 뻔하다.

해결책이 뭘까. 한 맞벌이 엄마에게 물어보니 “직장어린이집에 아이를 맡기면 이런 눈치 전쟁이 덜하지 않을까”라고 답한다. 그래선지 어린이집 유형 만족도 조사에서도 직장어린이집은 계속 1위다. 하지만 직장어린이집의 비율은 전체 어린이집의 1.3%에 불과하다. 그나마 공공기관과 대기업이 중심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 635곳이던 직장어린이집을 700여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는 기존보다 10% 이상 늘어나는 것이라고 강조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에게는 더디기만 하다.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가 “0~5세 보육은 국가가 책임지겠다”였다. 대통령의 임기 절반이 지나 가고 있는 지금 얼마나 공약이 지켜지고 있는지 고민해 볼 때다.

아이를 맡기는 걱정을 하고 있는 내게 한 선배가 말했다. “야, 그래도 오늘도 아이들이 크고 있다는 것이 다행”이라고.

moses@seoul.co.kr
2015-07-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