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제부 기자
그러나 미국이 정말 그렇게 인도적인 이유로 3년을 유지하던 방침을 뒤집은 것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그보다는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염두에 뒀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중동에 전쟁을 일으켜 지지율에 손해를 본 정권은 없었다. 최근 국내의 문제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오바마 정부에 전쟁은 필요했다.
IS가 아르빌을 압박하면서 그 지역에 집중돼 있는 미국인과 미국의 주요 시설을 보호해야 했던 것도 지지율과 무관하지 않다. 2012년 9월 11일 리비아 벵가지에서 이슬람 무장세력의 공격으로 미국 대사 등 4명의 미국인이 숨진 사건은 오바마 정부의 뼈아픈 외교 실패 사례로 남아 있다. 그 같은 사건이 또 생기면 선거는 필패다.
자국 군인을 투입하지 않은 채 이라크 정부군과 쿠르드족을 무장시키는 이유도 이 전쟁이 선거를 위한 것이라는 분석에 힘을 싣는다. 지상군이 투입되면 전쟁은 빠르고 확실하게 끝낼 수 있다. 그러나 미국 군인이 숨지는 것을 유권자는 원하지 않는다. 또 이라크전 종전을 공약으로 내걸고 재선에 성공한 오바마가 지상군마저 투입하면 ‘공약을 뒤집지 않았다’고 주장할 수 있는 마지막 근거가 사라진다.
인도적인 이유로 공습이 시작됐다면 벌써 오래전 시리아 상공에 미군 전투기가 떴어야 했다. 싸구려 드럼통 폭탄에 3년 동안 20만명이 숨졌다. 시리아 온건 반군이 유튜브에 올린 동영상 속 병원에서는 한 아이가 죽어 나간 자리에 고인 피가 빠지기도 전에 다른 아이가 누웠다 이내 숨을 놓았다. 인구의 4분의1이 살 곳을 잃었다.
미국이 정말 제노사이드를 막기 위해 군사를 움직이는 나라였다면, 지난여름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전쟁에도 최소한 의미 있는 목소리를 냈을 것이다. 팔레스타인 사람만 2000명이 넘게 숨졌다. 특정 인종에 대한 대량 살상이라는 점에서 이 역시 제노사이드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은 이스라엘을 막지 않았다. 명분 없는 전쟁은 없다지만 모든 전쟁은 철저히 자국 이익을 위해 시작된다.
shiho@seoul.co.kr
2014-10-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