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웅의 이슈 탐구] 이제 ‘국악’의 세계화다

[유재웅의 이슈 탐구] 이제 ‘국악’의 세계화다

입력 2024-11-07 02:34
수정 2024-11-07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무대 올릴 새 문화 아이템
국악 등 전통 공연예술 주목을
종사자 헌신으로 명맥 잇다니…
정부가 재정자립 적극 지원해야

한국 문화예술의 역사는 앞으로 ‘한강’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다. 작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일회적 경사를 뛰어넘어 한국 문화예술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계속될 것이다. 최근 한강 작품의 주제와 내용을 놓고 이견과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그렇다고 한강의 노벨상 수상이 갖는 엄청난 의미를 떨어뜨리는 것은 아니다. 혹자는 한강의 노벨상 수상으로 한국이 이제 문화적으로 G7의 반열에 올랐다고까지 평가한다. 공감한다. 한 나라가 선진국이 된다는 것은 1인당 GDP 숫자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한강의 쾌거는 우리 문화예술계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던져 준다. 근래 우리 문화예술계는 대중음악에서 방탄소년단(BTS), 영화예술에서 봉준호 감독이 대한민국의 이름을 날렸다. 클래식 음악에서도 피아니스트 조성진 같은 세계적 스타를 배출했다. 그렇다면 이제 세계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우리 문화예술계의 미래 아이템은 어디에서 발굴해야 할까. 다른 나라 사람들도 이미 다 하고 있는 분야에서 뛰어난 경쟁력으로 압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만의 고유한 가치와 정서를 갖고 있는 분야에서 찾아내는 것이 훨씬 승산이 높을 것이다.

그중 하나로 국악을 비롯한 한국 전통 공연예술을 꼽고 싶다. 가장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으로 각광받을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하지만 다른 문화예술 분야에 비해 국민들의 관심을 아직 덜 받고 있다. 국가 차원의 투자도 충분치 못한 실정이다. 거칠게 표현하자면 전통 공연예술 분야 종사자들의 사명감과 헌신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지표들이 많은 것을 시사한다. 대표적으로 국악 분야를 보면, 국내 공연예술단체 약 4300개 중 국악 단체는 약 750개다. 국악 종사자는 약 9000명이다. 지난해 공연시장 티켓 판매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시장 규모 5617억원 중 국악은 1.1%인 61억원 수준이다. 국악 단체 재정자립도는 평균 34%에 머물러 있다. 전업으로 국악만 해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이는 극소수다. 국악 단체가 자력으로 공연을 무대에 올리는 것도 여간 힘든 게 아니다.

국악을 비롯한 우리 전통 공연예술계가 처한 실정을 감안해 이를 진흥시키기 위한 법안이 작년에 제정돼 올해 시행에 들어갔다. 지난 7월에 시행된 ‘국악진흥법’과 9월에 시행된 ‘전통문화산업진흥법’이 대표적이다. 많이 늦었지만 그래도 이런 법률이 만들어져 다행이다. 법적 지원 토대가 만들어졌으니 앞으로 한국 전통 공연예술을 보존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과제가 남았다. 전통 공연예술 진흥을 위한 조사연구, 청사진 제시, 전문인력 양성과 교육, 단체 지원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포인트는 전통예술 지원기관 간 명료한 역할 분담과 협업이다. 작가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은 뛰어난 작품을 만들어 낸 작가의 역량이 가장 큰 몫을 차지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그의 작품을 외국어로 번역하고, 이를 해외 출판시장으로 확산시킨 문화 유통 분야의 도움이 컸다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우리 전통 공연예술이 국내를 뛰어넘어 장차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으려면 한강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얻어야 한다.

한국 전통 공연예술을 지원하고 진흥시키기 위해 설립된 대표적인 기관으로 국립국악원, 국립극장, 국악방송,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기관의 활동을 살펴보면 전통 공연예술의 보존과 계승, 진흥을 위한 인재 양성과 역량 제고, 콘텐츠 개발 등에 있어서는 기관 간 역할 분담을 하면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아쉬운 것은 우리 전통 공연예술을 국내외에 알리고 응원군을 확보하기 위한 마케팅과 홍보는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한국 전통문화 콘텐츠의 독창성과 문화적 가치에 대한 소비자 공감대를 넓히는 일은 우리 전통 공연예술계가 재정적으로 자립하기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업계 스스로 역량을 키울 때까지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고, 이를 책임감 있게 주관할 기관을 정하는 것도 효과적인 전략일 것이다. 문화강국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다.

유재웅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대표

이미지 확대
유재웅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대표
유재웅 한국위기커뮤니케이션연구소 대표
2024-1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