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리 V 레베데프 도쿄대 인문사회계연구과 박사과정
1941년 12월 7일 일본은 하와이 진주만의 미군기지를 기습 공격함으로써 태평양전쟁을 시작했다. 불의의 기습으로 불리한 전황에 처하게 된 미국 정부는 즉시 소련에 참전 혹은 일본 본토에 대한 공습이 가능한 공군기지의 제공을 요청했으나 같은 해 6월 22일 독일의 침략으로 극동지역에서 군대를 이동하던 소련은 대일 참전을 할 여유가 없었다. 그럼에도 미국과 영국은 소련의 대일 참전을 계속 요청했다.
결국 1943년 11월 28일 테헤란 회담에서 소련의 참전 문제가 다시 제기됐다. 스탈린은 소련에 커다란 인명·재산 피해를 입힌 독일을 하루빨리 패배시키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면서 미영 양국이 서부전선을 열어 주면 독일 패망 후 참전하겠다고 약속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실시해 독일에 큰 타격을 주었다. 이에 만족한 스탈린은 1945년 2월 얄타에서 열린 회담에서 독일 패망 3개월 이내 대일참전을 약속했다.
1945년 5월 9일 독일이 무조건 항복하자 소련은 그 약속의 이행에 착수했다. 유럽전선에서 단련된 소련군 부대들은 전대미문의 속도로 극동지역으로 옮겨졌고 새로운 전구(戰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여기서 소련의 가장 큰 결함이 드러났다. 혁명 전 동양학자들과 코민테른 소속 한국인 공산주의들이 숙청당했기 때문에 한반도 정책고문(顧問)이 될 전문가도 거의 없었다. 88여단에서 근무했던 김일성 등 한인 공산주의자들도 대부분 군인이었고 정치적 인재로서 소련 정부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만주공세작전 당시 소련은 한반도를 일본군의 도주를 막기 위한 보조방향으로 간주했고 한국을 분단시키거나 군대를 주둔할 계획조차 없었다.
그런데 소련은 어떻게, 그리고 언제 북한 점령을 결정한 것일까.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몇 시간 전 소련은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만주공세작전을 시작했다. 소련군이 너무나 빠른 속도로 관동군을 격멸시켜 나가는 것이 미군 지도부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일본의 항복선언까지 몇 시간밖에 남지 않은 8월 14일 밤 미국 국무·육·해군조정위원회(SWNCC) 회의에서 딘 러스크와 본스틸 대령에게 아시아 지역의 내셔널지오그래픽 지도를 건네주고 소련의 남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한반도를 미소 점령 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라고 했다. 시간과 한반도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두 사람은 서울 바로 위에 있는 38선을 그 분계선으로 선택했다. 미국 지도부는 이에 기초하여 일반명령 제1호의 초안을 작성했고 스탈린에게 보냈다. 스탈린은 쿠릴열도를 소련에 인도하고 일본의 분할 점령을 요구했으나 한반도 분할 점령에 대해서는 항의를 안 했다.
결국 미국은 1945년 8월 17일 쿠릴열도를 소련의 책임지대에 포함하도록 수정된 일반명령 제1호를 발표해 미군에 38도선 이남의 한반도를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같은 날 밤 소련군 참모부도 제25군에 한반도를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다음은 전문. ‘제25군 사령관에게. 극동지역 소련군 최고사령관의 명령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1. 1945년 8월 18일 조선에 군대를 파견하여 해주~차탄리~양양군 선(線) 이북을 그 책임 지대로 하도록 할 것. 2. 조선 주둔군에 제335, 393, 386사단과 209탱크여단을 포함시킬 것. 3. 수신을 확인하고 집행 후 보고할 것.’
미군과 소련군이 거의 동시에 발표한 일반명령 제1호와 제25군 명령으로 한국은 분할 점령돼 분단국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21-09-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