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식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
기초학력 지원이 성공하려면 △조기에 △전문성 높은 교사가 △효과가 검증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충분한 시간 동안 △강도 높게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핀란드의 학생들은 중학교 3학년이 되기까지 누구나 한 번쯤은 학교에서 특별지원교사에게 학습 지원을 받아 본 경험이 있다고 한다. 학교에서 수업을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이 발생했을 때는 언제든지 지원받을 수 있는 특별지원교사가 배치돼 있고, 학교 안에 상시적인 학습지원 체계가 마련돼 있는 덕분이다. 우리 교육도 누구나 언제든지 학습에 어려움이 생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적이고 상시적인 학습지원 시스템을 논의해야 할 때다.
우선 학습지원 1단계에서는 평소 수업 시간에 학습 결과를 꼼꼼하게 점검해 주는 지도가 필요하다. 이는 학생이 수업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를 살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 지도를 하고, 더 높은 단계의 지원이 필요한가를 살피는 단계다. 1단계 지원이 잘 이루어지려면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교사들이 학습지원에 집중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행정 업무를 없애는 정책이 필요하다. 우선 초등학교 1학년만이라도 학급당 학생수가 20명이 넘는 곳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교사들이 손쉽게 쓸 수 있는 효과가 검증된 프로그램이 현장에 보급돼 있다면 1단계 지원이 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보급한 ‘찬찬한글’은 1학년 읽기 교육의 첫걸음으로 많이 활용되면서 현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교실 수업에서 1단계 지원을 잘해도 난독이나 난산 등 특정 학습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정서적인 어려움 등 복합적인 원인을 가진 학생들은 여전히 학습이 어려울 수 있다. 이들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최소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나 특수교사들 중에 학습 지원에 관심을 가진 교사를 대상으로 최소 6개월 이상의 연수를 받게 해서 학습지원 전문교사를 양성하고, 전문적인 학습 지원이 가능한 시스템을 학교 안에 구축하는 정책을 제안하고 싶다.
학습지원 전문교사는 특별 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개별적으로 지도하는 기초학력 전담교사로 활동하거나 담임교사나 교과교사를 지원할 수도 있고, 보조교사를 활용해서 여러 학생들을 동시에 지원할 수도 있다. 학교마다 운영되고 있는 다중지원팀이 유명무실한 경우가 많은데, 학습지원 전문교사가 다중지원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다중지원팀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 격차에 대한 관심이 체계적인 기초학력 지원 시스템 구축의 계기로 이어지도록 교육 당국과 현장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2021-04-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