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대중음악을 ‘찬밥 신세’라고 하는 이유/윤동환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부회장

[In&Out] 대중음악을 ‘찬밥 신세’라고 하는 이유/윤동환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부회장

입력 2020-09-20 20:40
수정 2020-09-21 0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윤동환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부회장
윤동환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부회장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한국 가수로는 처음으로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인 ‘핫100’에서 1위를 기록했다. 전무후무한 기록에 언론은 물론 국민들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찬사를 보냈다. 하지만 이 모습을 보는 내내 한편으로는 씁쓸한 마음이 들었다. 우리는 과연 그들이 이룬 것에 맞는 대우를 하고 있을까.

빌보드 소식과 함께 방탄소년단의 입대 문제도 거론됐다. 케이팝을 전 세계에 알리고 각종 신기록을 세운 데 이어 빌보드 1위로 1조 7000억원의 경제효과를 일으킨 이들에게 혜택을 주는 게 그렇게 문제가 될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나 각종 국제 콩쿠르 우승 등 국악과 클래식계엔 병역 특례가 있는데 대중음악에는 혜택이 없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공연 취소 등으로 대중음악인들의 어려움이 장기화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3차 추경 예산 3469억원 중 공연예술 분야 인력 지원에 288억원, 공연·전시·영화·숙박·관광·체육시설 등 6대 분야 소비 쿠폰에 716억원을 배정했다. 대중음악 업계에서는 실낱같은 희망을 안고 지원 사업을 기대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공연예술 분야 인력 지원 사업은 클래식에 한정됐다. 1인당 8000원을 깎아 주는 문화 소비할인권 180만장도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무용, 국악에는 지원이 이뤄졌지만 대중음악 콘서트는 제외됐다.

대중음악은 왜 지원과 혜택에서 소외되는 것일까. 우리나라에는 대중음악을 전담하는 기관이나 부서가 없다. 문체부 내에 대중문화산업과가 있지만 웹툰과 노래연습장 민원 업무를 함께 담당한다. 노래연습장 관련 업무가 많아 실제 업무 비율은 대중음악보다 큰 실정이다.

문체부 산하기관인 한국콘텐츠진흥원에도 음악패션산업과가 존재하지만 음악과 패션 산업을 직원 5명 안팎이 담당한다. 게다가 공무 특성상 2~3년마다 부서를 옮겨야 해 업무 파악을 할 즈음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난다. 개선할 부분을 찾고 새로운 정책을 추진할 만한 전문가가 부재할 수밖에 없다.

지난 6월 문체부는 대중문화산업과 업무 중 케이팝 등 한류 관련 업무만 분리해 한류지원협력과를 신설했다. 이후 지난 1일 문체부는 방탄소년단과 SM엔터테인먼트의 온라인 유료 콘서트가 흥행에 성공하자 290억원의 예산을 들여 온라인 공연 스튜디오를 만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음악 생방송 스튜디오를 만들기 위해 세금을 사용하는 것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서다. 단순히 장소와 장비만 있다고 해서 온라인 공연이 성공할 수는 없다. 매년 이 공간을 유지하는 데 예산을 쓰고 몇 년 후에는 애물단지로 남게 될까 우려스럽다.

케이팝의 규모와 영향력은 매년 빠르게 커지고 있다.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지 않고 성장에 걸맞은 시스템과 대책을 준비하려면 대중음악 전문 기관과 전문 인력 배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2020-09-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