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워드 북한 전문 칼럼니스트
외국 단체와 교류할 수 있는 북한인들은 비교적 고위 엘리트들이다. 조선교류는 북한 사업가, 기업인, 무역일꾼 등에게 주요 사업 내용(사업기획, 마케팅, 제품설계, 시장전략 등)을 가르쳐 주는 단체다. 이를 통해 북한 경제가 개발되고 북한 사회도 나아지게 되는 것이다.
사업 교육을 받는 북한인 중에 아이디어가 좋은 사람이 많다. 컴퓨터 프로그램부터 새로운 카페 설계까지 매우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회사들과 전문가들은 북한에서 워크숍을 하고 북한 사업자들의 아이디어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그런데 북한 기업과 사업계의 큰 문제 중 하나는 북한사회가 폐쇄적인 만큼 기술과 아이디어도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첨단을 돌파하라는 북한 당국이지만, 인터넷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북한 기업계는 다른 나라의 기술 수준이나 소비자 취향 등을 파악하기가 너무 어렵다. 정보 획득에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글로벌 가치사슬에 올라가기가 쉽지 않다.
북한 주민들도 이런 현실 속에서 살기에 그 폐쇄성을 당연시하거나 불가피한 현실로 받아들인다. 이런 이야기는 빈번히 책에서 나온다. 감시가 강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스스로 자기 검열을 철저히 하고 민감한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예민한 주제를 회피하고 혼자서 외국인과 교류하지 않으려는 등 여러 전술도 구사한다.
조선교류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사업에 관심이 있는 북한 주민을 싱가포르 워크숍에 참가시키는 것이다. 바깥 세상을 만끽할 수 있는 북한 주민은 엘리트와 탈북자를 빼고 나면 없다. 하지만 북한 사회를 좋게 변화시키려면 권력과 비교적 가까이하는 엘리트 주민들과 북한 주민들에게 외부세계를 자주 보여 줘야 하지 않겠는가?
이런 조선교류의 장점은 싱가포르 단체라서 가능하다. ‘제국’ 혹은 ‘제국의 괴뢰’, 제국과 비슷한 ‘대국’과 북한의 교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미국은 제국이고 유럽과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들로서 ‘미국의 허수아비’로 본다. 중국은 대국이라 북한에 미칠 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이 강하다. 이렇게 보면 미국과 중국, 유럽, 한국 등에 있는 단체들은 북한과 교류할 때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싱가포르는 북한 주민과 북한 당국에 친숙한 면이 많다. 개인 숭배와 권위주의적 정치제도가 비슷하다는 점이다. 또한 교류에 별 큰 난제가 없으며 북한과의 복잡하지 않은 경제 관계와 역사, 영향력도 강하지 않은 등 여러 면에서 유럽이나 한국, 중국이나 미국보다 쉽게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부분이 크다.
남한과의 교류나 다른 나라와의 교류는 북한에 매우 이롭지만 쉽지 않다. 제국으로 인식돼 온 미국과 협상하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고, 북한 당국과 주민은 계속 걸어온 길로 갈 수 없다는 인식이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핵합의를 희망하며, 북한 사회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교류가 매우 시급하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이 이런 교류 경험담에서 교훈을 얻었으면 한다.
2020-08-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