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기 양 고려대 국제개발협력전공 대학원생
한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일회용품을 줄이고자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발발하자 과거로 회귀하는 상황이다. 2019년 6월 6일 서울신문 보도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매년 100억개 이상의 플라스틱 빨대가 사용된다. 플라스틱 일회용 컵과 함께 재생이 불가능한 품목이다. 그래서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일환으로 지난해 말 한국 정부는 2021년까지 커피숍에서 일회용컵과 플라스틱 빨대를 금지하는 정책을 실시하기로 했다. 그러나 올해 2월부터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식당과 카페에서 이 두 일회용품 사용이 다시 허용됐다. 따라서 한국 정부의 환경보호 계획에 차질이 생긴 것이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사람이 마스크를 끼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대중교통을 타거나 공공시설에 들어가려면 마스크를 꼭 껴야 한다. 마스크를 끼면 감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일회용 마스크를 사용해서 현재 마스크 사용량이 급증했다. 지금 한국에서 폐기된 일회용 마스크의 개수는 하루에 2000만개 정도이다. 게다가 사용한 마스크를 길에다 함부로 버리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일회용 마스크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성분이 있어 이것을 분해하는 데 수백 년이 걸린다고 한다. 또한 일회용 마스크에 있는 작은 플라스틱 입자는 바다나 강에 들어가서 이것을 물고기가 먹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우리도 이 해로운 성분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지난 몇 달 동안 재생 불가능한 일회용 포장용품과 장갑 사용량이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사람 간 접촉을 피하기 위해 집으로 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사람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난 4월 총선 때 투표소에서 일회용 비닐 장갑을 착용해야 했다. 290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투표에 참여하면서 5800만장 이상의 일회용 장갑이 선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됐다.
전염병을 예방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환경을 해치지 않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특히 일회용품을 과하게 사용하는 습관을 바꿔야 한다. 방역도 하고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인도네시아 정부는 모든 사무실과 공공 공간에 손 씻기 시설을 제공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많은 공공시설에서 사람들이 건물에 들어가기 전에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세면대를 준비해 두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인구가 많고 마스크가 부족해서 처음에는 재사용 면 마스크를 권장했고,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지금도 그대로 하고 있다. KF94와 같은 일회용 마스크보다 감염의 위험이 더 있고 더 불편할 수 있다. 위험은 어쩔 수 없지만, 불편은 계속 하다 보면 쉽게 적응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가 코로나19 때문에 여러 가지 불편을 겪다 보니 환경을 생각할 여유가 없이 일회용품들을 무분별하게 쓰고 있다. 방역을 위해 어쩔 수 없다고 반론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보호와 방역이 이분법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회용 마스크 대신 면 마스크를 사용하든지 손 씻기 등의 작은 노력으로 환경을 보호하면서도 방역을 할 수 있다. 한국인들이 코로나 방역에 성공적인 것임은 사실이지만 환경을 고려하는 방안도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2020-07-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