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희 출판저널 대표
독서가 생소한 이벤트가 아니라 우리들의 일상이 되고 삶을 풍요롭게 하며 개인의 독서활동이 공동체의 가치를 발현시키는 사회적 독서로 나아가려면 무엇보다 도서관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다. 도서관의 발전은 출판산업 성장, 독서문화 진흥, 그리고 지역민들의 문화 향유 및 국가의 문화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도 도서관을 핵심 정책 의제로 확장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제정 이후 2007년 도서관법과 독서문화진흥법으로 분법됐다. 도서관법에 따라 5년마다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 시행되고 있으며, 대통령 소속으로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라는 매우 의미 있는 기구도 설치했다. 안타깝게도 2008년에 조직이 축소됐지만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의 관심으로 10년이 지나 2018년 9월에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사무국이 국립중앙도서관 본관 7층에 설치되면서 위상을 되찾아 가고 있는 중이다.
최근 지역의 커뮤니티 센터로 성장하고 있는 도서관이 다양한 공공 문화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하는 과제들이 있다. 시민들은 도서관이 나의 일상적인 공간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도서관이 시민들에게 제대로 된 서비스를 할 수 있으려면 사서 확보 및 사서의 근무 환경 개선, 장서 등 독서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예산 증액,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조성 등이 필요하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시행되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은 사람에 대한 포용성, 공간의 혁신성, 정보의 민주성이라는 핵심 가치 아래 우리의 삶을 바꾸는 도서관이라는 비전을 목표로 두고 있다. 도서관 정책의 핵심 가치와 비전이 전국 각 지역으로 스며들어 도서관 문화가 균형발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도서관 정책을 총괄하는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위상 정립과 도서관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정책의 연속성이 가장 중요하다.
정책의 연속성은 외적 환경에 정책의 방향과 과정이 흔들리지 않음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도서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출판 정책, 독서 정책과의 협력은 국민에게 풍요로운 삶의 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문화 경쟁력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핵심 동력이다. 책문화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들이 연대하고 협력함으로써 책문화의 건강한 토양과 공기를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한다.
2019-12-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