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 비장애인과 함께 가는 장애인체육 정책을/이석산 고양시재활스포츠센터장

[In&Out] 비장애인과 함께 가는 장애인체육 정책을/이석산 고양시재활스포츠센터장

입력 2019-12-22 22:48
수정 2019-12-23 02: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석산 고양시재활스포츠센터장
이석산 고양시재활스포츠센터장
많은 사람이 장애인에게 운동은 먼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일수록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해 운동은 필수다. 장애인 정책에 있어 의료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기 쉽지만 선진국 대부분이 의료 서비스와 운동을 병행하며, 운동은 장애인들의 사회 복귀에 촉진제로 작용한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반다비 장애인체육센터’를 해마다 지역사회에 30개씩 건립하는 5개년 계획을 세우고 시행에 들어갔다. 장애인들의 체육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에서 단비 같은 소식이다. 그러나 장애인체육 발전을 위해 시설을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비장애인과 함께 가는 장애인체육’이 더 중요하다. 장애인 전용 시설이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하는 시설을 짓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고양시재활스포츠센터의 경우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이용 비율이 5대5로 잘 융화돼 있다. 장애인만을 위한 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 스포츠센터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다. 반대로 생각하면 비장애인을 위한 체육시설을 장애인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현재 장애인들이 비장애인의 체육시설을 이용하기엔 어려움이 많다. 문턱도 높을뿐더러 자격을 갖춘 지도자나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없기 때문이다. 꼭 반다비 체육센터가 아니더라도 정부가 향후 체육 공간을 만들 땐 장애인도 포함된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선 ‘배리어 프리’ 체육시설, 장애인 스포츠지도사 양성, 생활체육 지도자들의 장애인스포츠 교육 병행 등 장애인들이 일반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

장애인체육에 대한 지속성과 전문성 역시 필요하다. 5년간 150개가 만들어질 장애인체육시설이 단순히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운동에 기여했다고 자리가 주어지는 등 감투용으로 변질돼서는 곤란하다. 매년 임시로 보직을 맡기기보다는 제대로 된 전문가가 오랫동안 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시행하는 환경이 조성돼야 장애인체육이 더 많이 발전할 수 있다.

장애인체육 지도자들이 자격증만 따고 의무 보수교육이 없는 부분도 보완이 필요하다. 물리치료사나 사회복지사 같은 경우는 의무 보수교육을 받지 않으면 자격이 박탈된다. 그러나 장애인체육 지도사의 경우 권고 사항에 그친다. 현장에서는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증만 보고 채용하다 보니 미흡한 부분이 상당히 많다. 장애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 인권 교육 등이 동반되지 않으면 현장에 지도자들이 아무리 많이 배치돼도 발전 없이 끝난다.

안정적인 임금 지원도 필요하다. 많은 현장 지도자가 10년 넘게 일하고도 미래가 보이지 않으니 현장을 떠나는 일이 부지기수다. 제대로 된 임금협상 테이블을 마련해 더 적극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매번 새로운 사람으로 채워져 다시 시작해야 하는 톱니바퀴 순환을 바꿀 수 있다.
2019-12-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