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을 둘러싼 이슈들이 한두 개가 아니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기간이다 보니 수능이 가장 핫한 주제였다. 수능의 필요성에 관한 논쟁에서 수능을 폐지하자는 소리도 있었고 수능의 구성을 바꾸자는 주장도 있었다. 한편에서는 학교에서 일어난 끔찍한 일들 때문에 다시 한 번 학교 혹은 교육이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명문여고에서의 성적 조작, 논산 여교사와 학생 간 부적절한 관계에 관한 의혹 제기, 인천 다문화 가정 학생이 친구들에게 폭행당하다 추락사한 사건 등이 벌어지다 보니 많은 사람이 학교라는 장소가 제대로 된 교육을 하는 장소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한국의 교육이 핀란드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높이 평가를 받는 것은 확실하다. 어떤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1위 자리에 앉게 되면 방심하게 돼 최고지에 오를 욕심이 없어질 수도 있다. 그럴 때는 더이상 다른 사례와 비교해서 성장하기는 힘들다. 대신 이상적인 목표를 세우고 현실적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한국의 교육 커리큘럼이나 학교 시설, 현재 및 미래에 알맞은 교육 방향은 더할 나위 없이 우수하다. 그러나 최근에 터진 이 사건들을 통해 정신적 교육에서 재검토의 시간이 다가오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필자는 이번 글에서 정신적 교육의 이상적인 목표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남미에 있는 많은 국가를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독립시켜 준 시몬 볼리바르(1783년 출생)에 관한 이야기이다.
시몬 볼리바르의 스승은 시몬 로드리게스(1769년 출생)다. 로드리게스는 유럽에서 시작돼 세계로 퍼져 있는 계몽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아들였고 스페인 제국의 군주제에 의구심을 가진, 베네수엘라를 비롯해 전 남미에서 형성된 계급제도를 부정한 ‘스승’이었다. 그는 스페인 제국 총독부에서 받은 교사증으로 지주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과외를 했다. 로드리게스는 1790년대에 이 교육 활동 속에서 볼리바르를 ‘제자’로 만나게 되었다.
볼리바르는 스승에게 ‘자유’와 ‘독립’에 대한 정신교육을 철저히 받았지만 아버지 덕분에 총독부에서 직위를 얻고 결혼(1802년)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평범한 삶의 길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그러나 그의 운명 속에는 어마어마한 큰 고통이 숨어 있었다.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던 볼리바르는 불과 1년 만에 부인이 황열병으로 사망(1803)하자 어두운 우물에 빠지게 되었다. 볼리바르를 이 우물에서 구출한 사람 역시 그의 스승 로드리게스였다.
부인과의 갑작스러운 이별의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유럽으로 도피해 무의미하게 시간을 낭비하던 볼리바르는 길거리에서 우연히 로드리게스를 만나게 된다. 이 같은 제자의 모습에 화가 난 로드리게스는 정신을 차리라며 볼리바르를 꾸짖었다. “조국에 있는 국민들은 스페인 제국의 압박 속에서 어렵게 살고 있는데, 네가 이렇게 사는 게 말이 되느냐?” 타향에서 스승의 꾸짖음에 다시 태어난 볼리바르는 남미로 돌아가 조국의 독립에 헌신했다.
필자가 이 두 인물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졸업했던 고등학교 정문에 쓰인 간판이다. “진정한 학교는 인간에게 영원함의 길을 열어 준 불가사의한 열쇠다.” 오늘날에는 볼리바르의 신체마저 사라진 상황이다. 그러나 그의 이름, 영혼, 꿈은 아직도 살고 있다. 남미에는 볼리바르의 이름으로 된 나라, 도시, 시골 혹은 화폐 단위까지 있다. 그래서 묻겠다. 볼리바르에게 이 영원함의 길을 열어 준 것은 무엇인가.
로드리게스와 볼리바르의 이야기를 보고 있으면 스승, 교육 및 학교 같은 단어들이 머릿속에서 소용돌이친다. 이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번 우리의 학교에 영원함의 길이 얼마나 열려 있는지를 생각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
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시몬 볼리바르의 스승은 시몬 로드리게스(1769년 출생)다. 로드리게스는 유럽에서 시작돼 세계로 퍼져 있는 계몽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아들였고 스페인 제국의 군주제에 의구심을 가진, 베네수엘라를 비롯해 전 남미에서 형성된 계급제도를 부정한 ‘스승’이었다. 그는 스페인 제국 총독부에서 받은 교사증으로 지주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과외를 했다. 로드리게스는 1790년대에 이 교육 활동 속에서 볼리바르를 ‘제자’로 만나게 되었다.
볼리바르는 스승에게 ‘자유’와 ‘독립’에 대한 정신교육을 철저히 받았지만 아버지 덕분에 총독부에서 직위를 얻고 결혼(1802년)을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평범한 삶의 길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그러나 그의 운명 속에는 어마어마한 큰 고통이 숨어 있었다.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던 볼리바르는 불과 1년 만에 부인이 황열병으로 사망(1803)하자 어두운 우물에 빠지게 되었다. 볼리바르를 이 우물에서 구출한 사람 역시 그의 스승 로드리게스였다.
부인과의 갑작스러운 이별의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유럽으로 도피해 무의미하게 시간을 낭비하던 볼리바르는 길거리에서 우연히 로드리게스를 만나게 된다. 이 같은 제자의 모습에 화가 난 로드리게스는 정신을 차리라며 볼리바르를 꾸짖었다. “조국에 있는 국민들은 스페인 제국의 압박 속에서 어렵게 살고 있는데, 네가 이렇게 사는 게 말이 되느냐?” 타향에서 스승의 꾸짖음에 다시 태어난 볼리바르는 남미로 돌아가 조국의 독립에 헌신했다.
필자가 이 두 인물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졸업했던 고등학교 정문에 쓰인 간판이다. “진정한 학교는 인간에게 영원함의 길을 열어 준 불가사의한 열쇠다.” 오늘날에는 볼리바르의 신체마저 사라진 상황이다. 그러나 그의 이름, 영혼, 꿈은 아직도 살고 있다. 남미에는 볼리바르의 이름으로 된 나라, 도시, 시골 혹은 화폐 단위까지 있다. 그래서 묻겠다. 볼리바르에게 이 영원함의 길을 열어 준 것은 무엇인가.
로드리게스와 볼리바르의 이야기를 보고 있으면 스승, 교육 및 학교 같은 단어들이 머릿속에서 소용돌이친다. 이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번 우리의 학교에 영원함의 길이 얼마나 열려 있는지를 생각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
2018-11-28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