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 율법학자 에즈라가 남긴 구약성경의 ‘에즈라기’ 6장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키루스 대왕께서는 예루살렘에 있는 하느님의 집에 관하여 칙령을 내리셨다. … ‘비용은 황실에서 내어 주어라. 그뿐만 아니라 네부카드네자르가 예루살렘 성전에서 꺼내어 바빌론으로 가져온 금은 기물들을 되돌려 주어 예루살렘 성전으로 옮기고 제자리에 두게 하여라.’” 키루스 대왕은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의 초대 황제로 위의 구절은 기원전 538년경 그가 바빌론 유수에 처해 있던 유대인을 예루살렘에 복귀시키고 친히 재정을 지원해 성전을 재건하도록 한 조치를 기록하고 있다.
자초지종을 좀더 알아보자. 기원전 10세기부터 7세기 말까지 철권통치를 펼치던 아시리아제국이 쇠퇴하면서 서아시아 지역은 다양한 세력들로 분화했다. 지금의 튀르키예에 자리한 리디아, 지금의 이란 지역을 중심으로 팽창해 나간 메디아, 그리고 지금의 이라크를 비롯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를 차지한 신바빌로니아가 그들이었다. 이 중에서도 기원전 626년에 건국한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612년 아시리아제국을 무너뜨렸고, 강력한 철권통치를 펼치면서 피정복민에게 가혹한 압제를 펼쳤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 주는 사건이 바로 ‘바빌론 유수’였다. 기원전 6세기 초 신바빌로니아 황제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유다 왕국을 정복했는데, 유대인의 저항이 계속되자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수차례에 걸쳐 유대인을 제국의 수도인 바빌론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잘 알려졌다시피 이 기간에 유대인은 온갖 고초를 겪었고, 그럴수록 이들의 신앙인 유대교는 구원과 유일신 신앙을 핵심으로 하는 종교적 성격을 강화해 나갔다. 이를 중심으로 유대인의 정체성은 더욱 공고해졌다. 이때 집필된 다양한 예언서들은 자신들이 언젠가는 신바빌로니아의 압제에서 해방돼 고향으로 돌아가리라는 뜨거운 열망을 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정말 예언은 실현됐다. 기원전 559년 메디아의 속국이었던 페르시아에서 왕위에 오른 키루스가 이후 20년 동안 메디아, 리디아, 신바빌로니아를 차례로 무너뜨리고 인류 역사상 최초의 대제국을 건설했기 때문이다. 바빌론에 입성한 그는 억류된 유대인을 자비롭게 해방시켜 주었고, 이들에게 예루살렘으로의 귀향은 물론 성전 건설을 지원해 주었다.
실제로 키루스 황제는 기존의 정복자들과 달리 피정복민에 대한 관용 정책으로 명성을 떨쳤다. 애민정신인지 정략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는 피정복민에 대한 억압보다는 포용과 존중을 통해 ‘해방자’로서 정치적 지지를 모았다. 이렇게 해서 페르시아 출신의 지배자를 처음 접한 유대인도 성경에 성군으로 기록할 정도로 키루스는 다양한 피정복민들로부터 자발적인 복종을 끌어냈다. 아테네 철학자 크세노폰도 ‘키루스의 교육’에서 그를 이상적인 군주로 제시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하지만 현재는 어떠한가? 안타깝게도 각각 페르시아와 유다의 후손인 이란과 이스라엘 간에는 불길한 전운이 감돌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정녕 진보하고 있는 것인지 깊은 고민에 빠지게 한다.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자초지종을 좀더 알아보자. 기원전 10세기부터 7세기 말까지 철권통치를 펼치던 아시리아제국이 쇠퇴하면서 서아시아 지역은 다양한 세력들로 분화했다. 지금의 튀르키예에 자리한 리디아, 지금의 이란 지역을 중심으로 팽창해 나간 메디아, 그리고 지금의 이라크를 비롯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를 차지한 신바빌로니아가 그들이었다. 이 중에서도 기원전 626년에 건국한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612년 아시리아제국을 무너뜨렸고, 강력한 철권통치를 펼치면서 피정복민에게 가혹한 압제를 펼쳤다.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 주는 사건이 바로 ‘바빌론 유수’였다. 기원전 6세기 초 신바빌로니아 황제 네부카드네자르 2세는 유다 왕국을 정복했는데, 유대인의 저항이 계속되자 예루살렘을 파괴하고 수차례에 걸쳐 유대인을 제국의 수도인 바빌론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잘 알려졌다시피 이 기간에 유대인은 온갖 고초를 겪었고, 그럴수록 이들의 신앙인 유대교는 구원과 유일신 신앙을 핵심으로 하는 종교적 성격을 강화해 나갔다. 이를 중심으로 유대인의 정체성은 더욱 공고해졌다. 이때 집필된 다양한 예언서들은 자신들이 언젠가는 신바빌로니아의 압제에서 해방돼 고향으로 돌아가리라는 뜨거운 열망을 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정말 예언은 실현됐다. 기원전 559년 메디아의 속국이었던 페르시아에서 왕위에 오른 키루스가 이후 20년 동안 메디아, 리디아, 신바빌로니아를 차례로 무너뜨리고 인류 역사상 최초의 대제국을 건설했기 때문이다. 바빌론에 입성한 그는 억류된 유대인을 자비롭게 해방시켜 주었고, 이들에게 예루살렘으로의 귀향은 물론 성전 건설을 지원해 주었다.
실제로 키루스 황제는 기존의 정복자들과 달리 피정복민에 대한 관용 정책으로 명성을 떨쳤다. 애민정신인지 정략인지는 알 수 없지만, 그는 피정복민에 대한 억압보다는 포용과 존중을 통해 ‘해방자’로서 정치적 지지를 모았다. 이렇게 해서 페르시아 출신의 지배자를 처음 접한 유대인도 성경에 성군으로 기록할 정도로 키루스는 다양한 피정복민들로부터 자발적인 복종을 끌어냈다. 아테네 철학자 크세노폰도 ‘키루스의 교육’에서 그를 이상적인 군주로 제시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하지만 현재는 어떠한가? 안타깝게도 각각 페르시아와 유다의 후손인 이란과 이스라엘 간에는 불길한 전운이 감돌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정녕 진보하고 있는 것인지 깊은 고민에 빠지게 한다.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홍용진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
2024-04-1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