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시간이 주는 깊은 맛의 향연, 브레이징 요리의 세계/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시간이 주는 깊은 맛의 향연, 브레이징 요리의 세계/셰프 겸 칼럼니스트

입력 2023-12-20 00:13
수정 2023-12-20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인간이 하루에 두 끼 정도 꼬박 먹는다고 치면 1년이면 730끼, 10년이면 7300끼와 마주하게 된다. 수만 번의 끼니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식사를 몇 개 꼽는다고 하면 그 식사가 얼마나 특별한지 한번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아마도 기억에 남아 있는 식사는 어떤 맛의 첫 경험이거나 인생의 특별한 이벤트 또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식사 정도이지 않을까. 당장 지난주에 무엇을 먹었는지도 기억하기 어려운데 말이다. 그토록 수많은 끼니 중 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요즘 유독 떠오르는 한 접시가 있다. 스페인에서 맛본 닭으로 만든 기사도(Guisado) 요리다. 심지어 여름에 맛보았는데도 말이다.
이미지 확대
양고기로 만든 기사도. 국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요리는 스튜잉, 국물을 졸여 진득하게 만들어 소스처럼 이용하는 경우엔 브레이징으로 구분한다.
양고기로 만든 기사도. 국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요리는 스튜잉, 국물을 졸여 진득하게 만들어 소스처럼 이용하는 경우엔 브레이징으로 구분한다.
세계의 토종닭 요리를 취재하는 과정에서 만난 그 요리는 사실 특별하다고 할 만한 대단한 요리는 아니었다. 닭을 오랫동안 뭉근히 익혀 만든, 우리나라로 치면 일종의 갈비찜이나 찜닭 같은 요리다. ‘피타 핀타’라고 하는 스페인 아스투리아스의 토종닭은 무게만 3.5㎏이 넘는 거대한 닭이다. 그만큼 오래 자라 근섬유가 탄탄하다 보니 굽거나 튀기는 요리보다 오랫동안 익혀 부드럽게 만드는 요리에 적합한 식재료다. 닭을 구운 후 구운 기름에 양파와 피망을 볶은 후 화이트와인과 브랜디, 육수를 부어 장장 3시간가량 천천히 익혀 낸다.

긴 기다림 끝에 맛본 피타 핀타 기사도는 영락없는 한국의 갈비찜 맛이었다. 소고기 대신 닭고기로 만들었다는 것 말고는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한국의 갈비찜에 들어가는 양념의 주재료인 다량의 설탕과 간장 없이도 진하고 깊은 맛을 낼 수 있다는 게 놀라웠다. 요리에 설탕을 넣는 것이 죄는 아니지만 식재료만으로도 얼마든지 자연스러운 단맛을 낼 수 있다. 우리가 날마다 접하는 양파는 요리에 단맛을 주는 가장 손쉽고 흔한 재료지만 단맛을 우려내 재료와 함께 어우러지게 하려면 필요한 게 있다. 바로 시간이라는 주방의 보이지 않는 손이다.
이미지 확대
‘피타 핀타’로 만든 스페인식 스튜. 국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요리는 스튜잉, 국물을 졸여 진득하게 만들어 소스처럼 이용하는 경우엔 브레이징으로 구분한다.
‘피타 핀타’로 만든 스페인식 스튜. 국물이 상대적으로 많은 요리는 스튜잉, 국물을 졸여 진득하게 만들어 소스처럼 이용하는 경우엔 브레이징으로 구분한다.
기사도는 스페인과 멕시코 등 스페인어 문화권에서 브레이징 요리를 부르는 말이다. 브레이징을 한국어로 직역하기에는 다소 모호한 부분이 있다. 보통 찜이나 조림 요리로 부르기도 하는데 적확한 표현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어찌 됐건 시간을 두고 뭉근히 끓여 익히는 요리라고 생각하면 쉽다. 고기를 바비큐처럼 뜨거운 열, 건열에 굽는 방식 외에 수분, 습열에 익히는 요리법은 크게 두 가지다. 스튜잉과 브레이징이다. 보통 고기와 채소, 콩 등을 넣고 끓이는데 수분의 양이 건더기보다 많고 국물과 함께 먹는 요리법을 스튜잉, 수분을 건더기보다 적게 해 습열과 건열을 함께 이용해 졸여낸 후 남은 진득한 수분을 소스처럼 이용하는 요리를 브레이징이라고 한다.

기사도는 스튜잉보다는 브레이징에 가까운 요리법이다. 브레이징은 스튜잉보다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빠르게 구워 먹기엔 질긴 고기 부위를 덩어리째 넣고 시간을 들여 천천히 익히게 되면 열에 의해 단백질과 젤라틴 결합조직이 끊어지면서 부드러워진다. 여기에 첨가된 각종 야채들도 같은 조건에서 졸여지면서 캐러멜라이징화가 진행돼 원재료에서 맛볼 수 없었던 진하고 깊은 풍미가 만들어지는데 여기에 브레이징 요리의 묘미가 있다. 일부러 진한 소스를 만들거나 찾지 않아도 재료를 익히고 남은 수분과 채소 건더기를 가지고 훨씬 더 재료와 어우러지는 자연스러운 풍미를 가진 소스를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스페인 토종닭 ‘피타 핀타’로 만든 기사도. 한국의 갈비찜이나 찜닭 같은 요리다.
스페인 토종닭 ‘피타 핀타’로 만든 기사도. 한국의 갈비찜이나 찜닭 같은 요리다.
브레이징 요리로 잘 알려진 대표적인 요리는 스페인의 기사도 외에도 이탈리아의 오소부코, 프랑스의 코코뱅이 있다. 오소부코는 밀라노식 소꼬리뼈 요리이며 코코뱅은 닭을 이용해 만든 브레이징 요리다. 사실 두 요리가 워낙 유명해서 그렇지 브레이징이라는 요리법을 쓰면 양고기나 돼지고기처럼 다른 재료로도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하다. 서양식 브레이징 요리의 핵심은 고기를 잘 구워 마이야르 반응을 최대한 끌어낸 후 야채를 충분히 볶아 단맛을 내는 데 있다. 진한 소스의 풍미를 원한다면 레드 와인을, 그렇지 않다면 화이트 와인을 선택하자. 나머지는 시간이 해결해 준다. 2시간에서 최대 3시간가량 천천히 익혀 주기만 하면 실패하는 법이 없는 요리가 완성된다.

브레이징 요리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요리는 혼자를 위한 요리는 아니다. 들어가는 재료가 많을수록 맛은 더 풍부해지기에 연말처럼 특별한 날 여러 가족이 모인 식사 자리에서 함께 나눌 수 있는 가족 요리를 상징한다. 식사 3~4시간 전 맨 먼저 준비해 놓은 다음 오븐이나 불에 올려 천천히 익는 동안 다른 요리를 할 수 있으니 오히려 간편하다. 연말에 어울리는 특별한 요리법을 찾고 있다면 브레이징 요리를 강력히 추천하는 바이다.
2023-12-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