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알프스 찬 바람 맞고 자란 레몬의 속사정/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알프스 찬 바람 맞고 자란 레몬의 속사정/셰프 겸 칼럼니스트

입력 2022-06-01 21:26
수정 2022-06-02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장준우 셰프 겸 칼럼니스트
가르다 호수는 이탈리아 베로나에서 서쪽으로 대략 20㎞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팬데믹 이전에 여행했던 장소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곳이다. 관광대국 이탈리아 내에서도 손꼽히는 여행지일 만큼 탄성이 절로 나오는 풍광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가르다 호수가 유독 인상적이었던 이유는 다른 데 있었다. 어처구니없게도 그곳에서 레몬이 자라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레몬이 유명하긴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따뜻한 남부에 국한된 이야기다. 가르다 호수는 이탈리아 북단 알프스산맥 즈음에 위치해 있다. 마치 제주에 있어야 할 감귤나무를 강원도 철원에서 목격한 것과 같다고 할까. 대관절 어떻게 된 걸까.

먼저 레몬의 호적부터 확인해 보자. 레몬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더위의 갈증을 해소해 주는 장면과 연관된다. 등본상 출생지는 인도 북부로 추정되는데 묘한 사실은 부모가 셋이란 점이다. 식물학자들은 레몬이 감귤류 중 포멜로와 시트론, 만다린의 교배를 통해 탄생한 것으로 본다. 이는 레몬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다른 감귤류 식물도 마찬가지다. 수세기에 걸친 이종교배와 개량 때문에 정확한 혈통 추적이 어렵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이탈리아 북단 알프스산맥 인근에 위치한 가르다 호수의 풍경. 따뜻한 남부가 아닌 찬 바람이 부는 이곳에서 희한하게도 레몬을 재배하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 위는 가르다 호숫가에서 자라고 있는 레몬. 아래는 레몬 정원.
이탈리아 북단 알프스산맥 인근에 위치한 가르다 호수의 풍경. 따뜻한 남부가 아닌 찬 바람이 부는 이곳에서 희한하게도 레몬을 재배하고 있다(왼쪽 사진). 오른쪽 위는 가르다 호숫가에서 자라고 있는 레몬. 아래는 레몬 정원.
어쨌거나 레몬은 인도에서 중동을 거쳐 유럽으로 전입했다. 일부 학자에 따르면 10세기쯤 시칠리아를 점령한 아랍인에 의해 레몬이 처음 이탈리아에 상륙했으며 자연스럽게 이탈리아 본토로 유입됐다. 오늘날 이탈리아에서 레몬 산지로 유명한 곳은 시칠리아 시라쿠사와 메시나, 나폴리의 소렌토와 아말피다. 뜨거운 태양과 푸른 바다 그리고 레몬은 이탈리아 남부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탈리아 남부 레몬의 존재는 제주도 감귤처럼 개연성이 충분히 있다. 그런데 대체 왜 철원에 감귤이, 아니 가르다 호수에서 레몬이 재배되고 있는 것일까. 기록에 따르면 13세기 산 프란체스코 수사들에 의해 리구리아에서 가르다 호수로 레몬 나무가 옮겨 심어졌다. 수도사들이 심심풀이로 심은 건 아니었다. 여기엔 당시 경제력으로 유럽을 주름잡았던 베네치아 공국의 적극적인 장려가 있었다. 수사들은 가르다 호수의 서쪽 일부 경사면이 레몬을 키우기에 적합하다고 보았고 대규모 재배가 이뤄졌다. 이렇게 재배된 레몬은 알프스산맥 가도를 통해 독일 등 북유럽으로 수출됐고 베네치아 공국의 수입원 중 하나가 됐다.
이탈리아 남부 아말피에서 볼 수 있는 레몬.
이탈리아 남부 아말피에서 볼 수 있는 레몬.
이유는 이해가 되지만 가장 중요한 질문이 하나 남았다. 찬 바람이 서늘하게 부는 알프스산맥 어귀에서도 레몬이 잘 자랄 수가 있을까. 넓은 호수 덕분에 기후가 다른 산지에 비해 비교적 온화한 편인 점, 알프스를 타고 내려오는 차가운 북동풍을 막기 위해 벽을 계단식으로 쌓아 올려 햇빛은 받되 바람은 막는 방식 덕분에 가르다 호수의 레몬은 큰 탈 없이 자랄 수 있었다. 19세기에 무시무시한 병이 돌기 전까지는.

이탈리아 왕국이 통일된 무렵 가르다 호수에는 감귤류 작물에 치명적인 병이 돌았다. 많은 농가가 수익성 약화로 레몬 농사를 포기했는데 여기엔 운송 기술의 발달로 남부에서 대량 재배된 레몬이 손쉽게 다른 나라로 수출이 가능해진 것도 한몫했다. 가르다 호수의 레몬 재배는 사실상 명맥이 끊겼지만 현대에 와 시설이 복원되고 관광 상품화되면서 부활했다.

우리는 보통 레몬이 한 품종이라고 생각하지만 자세히 따지고 보면 그렇지도 않다. 당장 제주도에 있는 감귤류만 봐도 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 등 종류가 상당하다. 레몬의 경우 상업화가 가장 잘된 미국만 봐도 크게 유레카 레몬과 리스본 레몬, 마이어 레몬으로 유통된다. 흔히 레몬의 이미지로 잘 알려진 둥근 타원 모양에 양 끝이 조금 볼록하게 튀어나온 상상 그대로의 모습이 리스본 레몬과 유레카 레몬이다. 외양에 큰 차이가 없어 품종을 자세히 구분하지 않고 그냥 ‘레몬’으로 팔린다. 리스본 레몬은 포르투갈에서, 유레카 레몬은 이탈리아에서 온 품종이 개량, 현지화됐다.

마이어 레몬은 사정이 좀 다르다. 식물채집가인 프랭크 마이어의 이름에서 따온 이 레몬은 레몬과 만다린의 교배종이다. 레몬 같지만 좀더 둥글고 과육도 오렌지 빛깔이 나 유레카ㆍ리스본 레몬과는 육안으로 구별되는 편이다. 1908년 마이어가 베이징에서 이 품종을 미국으로 가져가 인기를 끌었지만 무증상 바이러스 보균자란 사실이 알려지면서 대부분 폐기됐다. 이후 미국의 한 농가에서 바이러스 없는 마이어 레몬 재배에 성공해 부활했다.

제주에서도 2000년대 중반부터 레몬을 재배하고 있다. 유레카와 리스본 품종이나 국내형으로 개발된 제라몬 품종을 키우는 농가가 대부분이다. 천혜향이나 레드향처럼 다양한 국산 레몬 품종들로 우리 식탁이 조금 더 풍성해지길 기대해 본다.
2022-06-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