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내 아버지의 해방일지/이은선 소설가

[문화마당] 내 아버지의 해방일지/이은선 소설가

입력 2022-11-16 20:20
수정 2022-11-17 1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소설가 이은선
소설가 이은선
“아리야. 고만 가자.” 들은 척도 않고 걷기만 했다. “워쩌겄냐, 가야제.” (중략) “저 질이 암만 가도 끝나들 안 해야.”(정지아 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 중)

빨치산인 아버지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당차게 길을 나선 ‘나’는 끝내 집으로 돌아오고야 만다. 자갈길과 신작로를 거쳐 강가의 도로에 이르기까지 화가 날 대로 난 걸음이 심상찮음을 느낀 작은아버지 덕분이다. 섬진강이 나오는 데까지 내처 걸어가 기어코 이 산자락을 벗어나려던 ‘나’는 강가의 수박 원두막에 주저앉는다.

암만 가도 끝나들 안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이상 듣지 않은 사람처럼 내처 걸어갈 수가 없었을 터. 지금 당장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길은 누구에게나 있다. 손에 쥔 것을 놓고 훨훨 날아가고 싶고, 완전히 모르는 곳으로 가서 새로 태어난 사람마냥 살아 보고도 싶고, 에라 모르겠다는 심정으로 무슨 일이든 저질러 보고 싶기도 한. 그것을 이른바 ‘인생’이라고 불러도 되는 것일까. 선택지는 단 두 가지. 벗어나거나 벗어나지 않거나.

우리 아버지는 평생 운전기사로 살았다. 탄광차와 용달차, 버스기사와 회사택시 기사를 거쳐 개인택시 모범운전사에 이르기까지 운전 경력만 도합 50년쯤 된다. 그 시간은 한 청년을 칠순 노인으로 탈바꿈시켰다. 차에 짐을 실어 옮기고, 손님을 태워 오가던 그 길에서 그가 겪어 온 시간은 기쁨보다는 수모와 어떤 폭력이-실제로 범죄 수배자를 태워 내려 주고는 돈도 못 받고 크게 맞은 적도 있다-난무하고 지름길과 돌아가는 길 사이의 가격 차이 때문에 겪은 시비들로 가득 차 있다. 운전대를 잡고 시간과 돈을 재는 시간 속에서 그가 겪어야 했던 희로애락들은 그야말로 ‘장편소설’감. 아버지가 그다지 다정한 축이 아니어서 된소리를 얻어먹은 적도 많았다.

얼마 전에 우리 가족은 아버지의 칠순을 기념해 제주도에 다녀왔다. 사실 오래 앓은 지병의 후유증으로 왼쪽 눈의 시력을 상실하고 있던 터라 아버지의 나머지 눈이 성할 때 조금이라도 더 좋은 데 같이 다녀 보자는 취지였다. 여행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는 45년 전에 못 했던 신혼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처럼 보였다. 사진작가에게 가족 사진과 부부 사진을 찍었고, 손자와 함께 카약과 말을 탔다. 세 살 된 손녀의 유모차를 밀면서 올레길을 걷기도 했다.

초등학교 시절의 나는 우리 아빠도 사업가나 교사 혹은 박사나 의사 같은 것을 했으면 좋겠다고 바란 적이 있다. 밤낮없이 콜을 받아 나가는 삶이 내 눈에도 고단해 보였고 또 친구들 앞에서 아빠 뭐 하냐는 질문을 받으면 대답은 하긴 했지만 다른 더 좋은 직업을 대보고 싶던 어린 마음이랄까. 때론 중졸인 아버지는 고졸로, 초졸인 어머니는 중졸로 바꿔 치기도 해 봤다. 내가 그런다는 것을 안 부모님은 그저 웃고 말았지만 그 속이야 오죽했을까.

“운전하기 싫을 때도 있었어?” 제주도 한 식당에서 아빠에게 여쭸다. “한두 번이간디. 그래도 뭐 다른 거 할 거 있가니? 그냥 했지.”

이제 나는 ‘그냥 했다’는 말의 저의를 아는 나이가 됐다. 운전대를 놓아 버리고 싶은 때가 한두 번이었을까. 그러나 아버지는 언제나 길을 달려 집으로 돌아왔고 우리를 먹여 살렸다. 나는 더이상 세상의 모든 아버지가 그런 식으로 가족을 건사하는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도 잘 안다. 나는 아버지가 내게는 평생 고맙고 자랑스러운 ‘모범운전사’였다는 사실을 여기에 밝힌다. 그리하여 아직은 성한 오른쪽 눈이 세상과 가족을 볼 수 있을 때, 몇 번이고 좋으니 같이 여행을 떠나자고 이렇게나마 권해 보는 날이다.
2022-11-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