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우리집 3번남에 대하여/김동명 영화감독

[문화마당] 우리집 3번남에 대하여/김동명 영화감독

입력 2022-03-23 20:34
수정 2022-03-24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동명 영화감독
김동명 영화감독
내 남편은 3번남이다. 요즘 세간에서 분류되고 있다는 1번남이나 2번남이 아닌 3번남.

그간 우리들이 이분법의 진창에서 차별과 혐오의 소용돌이를 관통하고 있었다면 남편은 그 소용돌이를 조망하며 자신의 줏대를 굽히지 않은 ‘대쪽’이라고 할 수 있겠다.

남편이 3번남으로서 가졌던 소박한 소망은 다당제와 이를 통한 인간에 대한 다양성 존중, 즉 더이상 인간이 인간 위에 군림해 차별로 고통받는 이가 없기를 바라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대남과 이대녀, 1번남과 2번남의 갈라치기로 인한 혐오의 시간이 소멸되기에는 너무나 미미한 2.4%대의 투표 결과였다.

이대남과 이대녀에서 1번남과 2번남까지 혐오의 프레임을 깨부수기보다 그것이 더 심화되는 경로 위에서 3번남 혹은 3번녀들이 설 곳은 어디일까. 누군가는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갈라쳐진 형국은 사이버렉카와 같은 유튜버들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어찌 이들만의 잘못이겠는가. 이들을 인용해 ‘복붙’하고 남용해 가며 힘을 실어 준 몇몇 언론과 정치인들의 잘못이 아니겠는가.

얼마 전 대통령 당선인의 선거 당시 공약인 ‘여성가족부 폐지’에 맞서 ‘출산 보이콧’ 운동을 하겠다고 선언한 여성들이 있다는 기사를 보았다. 극단의 움직임들은 그 말이 실제 운동으로 이어지는 효능을 잃어버릴 뿐만 아니라 이분법의 프레임만이 공고해지는 부작용을 낳는다. 그래서 중요해지는 것이 정치적 효능감을 잃은 극단의 것들을 걸러낼 수 있도록 인도해 주는 언론의 역할이다. 나는 위의 기사가 사실을 말하고 있다고 믿지 않는다. 혹여나 사실일지라도 분명 남용된 인용이며 복붙일 것이다.

혐오의 탄생은 이렇게 복붙처럼 쉽고 가볍다. 지나오는 과정의 자극들로 인해 극단의 것들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살을 붙여 눈덩이가 된다. 이 눈덩이로 산사태를 맞은 우리들의 말초신경이 남아날까 걱정되는 것은 기우일까. 정치적 효능감을 내 스스로가 아닌 다른 누군가로부터 채우고 있는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더이상 내 말초신경은 나의 것이 아니게 되고 검증 없이 아무런 말이나 나불거려도 죄책감을 가질 필요가 없는 말초신경들의 최종합은 무뎌져 기형적이 된다. 그래서인지 자꾸 1번남이니 2번남이니 갈라치는 용어들이 마음에 걸린다.

‘말이 칼이 될 때’라는 책에서 홍성수 교수는 혐오표현의 규제 방법에 대해 말한다. 그는 혐오표현을 금지해 직접 격퇴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표현을 활성화하고 소수자 집단과 시민사회가 혐오표현에 대한 내성을 가질 수 있게 지지하고 지원하는 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파한다. 그리고 덧붙여 이를 보조하는 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한다.

그렇다. 내 남편을 표현한 ‘대쪽’ 3번남이 효력을 가지려면 표현이 더 많이 다양해지고 그것들을 비판하고 수용할 수 있는 장이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나는 홍 교수가 말한 차별금지법 제정 이후에나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동안 무차별적으로 가해져 왔던 혐오표현들에 최소한의 시정을 권고하고 명령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를 만드는 것 말이다.

그 이후에야 나는 비로소 언론에서 전하는 1번남과 2번남이라는 표현이 편해질 것 같다. 그리고 나의 농담인 3번남과 3번녀들에게 ‘대쪽’ 같은 성품이라며 웃는 얼굴로 어깨를 토닥일 수 있을 것 같다.
2022-03-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