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한 달 전쯤 텀블벅에 시선을 사로잡는 프로젝트가 올라왔다. 출판사 읻다에서 학술 서평 무크지 ‘교차’를 펴낸다는 제안이었다. 읻다는 빈센트 밀레이, 프랑시스 퐁주, 게오르크 트라클 등의 시를 소개하는 ‘읻다 시인선’, 나쓰메 소세키, 다자이 오사무, 아르튀르 랭보 등의 내면을 엿볼 수 있는 서간집 시리즈 ‘상응’을 출판해 온 곳으로, 편집자들 사이에서 양질의 책 선정과 훌륭한 번역으로 이름 높다.
‘교차’는 “최신 사상과 이론의 동향을 소개”하는 인문 학술 잡지를 표방한다. 방법은 서평이다. 호마다 주제 하나를 선정한 뒤 철학, 문학, 역사학, 종교학, 인류학, 사회학, 과학학 등 여러 학문 분과에서 한 시대의 분기점이 된 명저들을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종횡으로 읽어 가는 지적 교류의 장을 열겠다는 것이다.
첫 호의 주제는 사회다. ‘지식의 사회, 사회의 지식’이라는 이름 아래 ‘인간 불평등 기원론’(루소)에서 ‘애도의 애도를 위하여’(진태원)에 이르는 묵직한 학술서를 서평한다. ‘살롱의 세계’, ‘젠더, 건강, 치유, 1250~1550’, ‘사회적인 것의 재구성’ 등 국내 미번역 서적도 다룬다. 인문에 한정되지 않고 ‘중력의 키스’ 같은 과학학 명저도 포함됐다. 서평자는 각 분야의 전문 청년 연구자로, 편당 80~100장 정도 긴 호흡으로 한 권의 책이 펼쳐 낸 세계 전체의 의미를 풍부하게 읽어 낸다.
사실 명저에는 한 시대의 사유가 총체적 형태로 응축돼 있다. 당대까지 인류가 안다고 생각했던 것, 당대에 인류가 새롭게 알게 된 것, 이후로 인류가 알아 가야 할 것, 많은 것들이 담겨 있다. 이런 책을 읽는 것은 하나의 세계를 살피는 일이고, 하나의 시대를 머리에 담는 일이다. 고전에서 현대에 이르는 책들을 이어 붙이면 사유의 별자리에 하나의 지도가 나타난다. 또한 그 지도를 들고 세상을 탐험하려는 지적 여행자들의 공동체도 출현한다. ‘교차’가 노리는 게 바로 이것이다.
지난 20년 동안 한국의 학문 공동체는 이러한 세계를 빼앗겼다. 신문 서평 지면은 대중화라는 명목으로 주요 학술 성과를 외면하기 일쑤였고, 한때 넘쳐났던 인문 잡지들은 대부분 폐간돼 소멸했으며, 지적 공론장으로 기능했던 문학잡지는 점차 지성의 교차 대신 감성 교류에 집중하는 쪽으로 속화됐다. 아마추어리즘이 시대를 주도하면서 경박단소한 숏폼 콘텐츠가 홍수처럼 밀려들고, ‘지대넓얕’을 무기 삼는 예능 지식인들이 인문 공간을 점령했다. 덩달아 학술 출판은 이른바 ‘500부 출판’으로 오그라들었다. 돌아볼수록 참담했다.
그러나 깊은 사유는 복류할 수는 있어도 증발하지는 않는다. 살아갈 길을 잃고 막다른 골목에 처할 때마다 사람들에게는 벽을 문으로 바꾸어 주는 사유의 망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바야흐로 재난과 재앙의 시대 아닌가. 적절한 형태로 제안되면 함께 걸을 여행자는 얼마든지 있다. 과연 독자들은 모금 금액의 세 배를 훌쩍 넘는 자금을 모아 주었고, ‘교차’는 다음주 초인 18일 첫선을 보인다.
지난해 초에 인문 잡지 ‘한편’(민음사)이 돌풍을 일으켰고, 가을에는 대중 서평지 ‘서울북스오브리뷰’가 화제가 됐다. 사유의 영토를 확보하고 학술 출판의 성과를 검증하는 ‘교차’도 그들과 함께 든든히 자리잡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2021-10-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