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정보와 예술을 품은 광고판/최나욱 건축평론가

[문화마당] 정보와 예술을 품은 광고판/최나욱 건축평론가

입력 2020-11-25 20:52
수정 2023-04-05 16: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최나욱 작가·건축가
최나욱 작가·건축가
코로나19 탓에 유동인구가 줄고 도시가 휑하다. 건물 단위에서 사라진 것은 광고판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사람들이 도시를 돌아다니지 않으니, 굳이 돈 들여 광고를 할 이유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효과를 기대한다면 자못 합리적이다.

그런데 이탈리아의 사진가 조반니 하니넨은 이 편견을 뒤집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수없이 쏟아지던 지난 5월 밀라노의 광고판을 대여해 여러 가지 작업을 발표했다. 유례없을 정도로 스산해진 도시에서 과연 누가 보겠나 싶지만, 반대로 조반니는 ‘광고판이 담긴 도시 사진’을 다시 찍어 보이며 이렇게 말한다. “코로나 때문에 한산해진 도시 사진들을 나날이 찍고 공유하는 중이다. 지금처럼 도시의 광고판이 널리 선보일 날이 또 언제 있겠는가.”

평소 같았다면 광고가 집행되던 기간에만 거리의 사람들에게 보였겠지만, 역사적으로 기록될 작금의 ‘사람 하나 없는 밀라노 사진’과 함께 이 사진은 꽤나 광범위하게 소비될 것 같다.

도시를 직접 경험하는 일은 분명히 줄어들었지만, 역설적으로 ‘도시 자체’의 이미지는 여느 때보다 주목받는 것이다. 한때 불편한 도시 공해처럼 여겨지던 광고판이 반대로 오늘날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도시 이미지의 정보 요소로 위상이 바뀐 것도 그 방증이다. 광고와 정보의 차이는 사람들이 원하냐 원하지 않냐의 여부인데,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따라 이 관계 또한 전복된다.

이는 루이비통의 아티스틱 디렉터 버질 아블로가 한참 전부터 해 왔던 주장을 연상하게 한다. 패션업계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을 여는 일이 성공의 징표나 다름없었는데, 아블로는 그것의 비합리성을 지적하면서 오프라인 매장의 진짜 기능을 다시 이야기한 바 있다. 앞으로 매장은 ‘무언가를 파는 곳’이 아니라 ‘그곳에 있다’는 광고판의 기능이 전부라고 말이다.

심지어 매장에는 와이파이만 있으면 된다고 덧붙였다. 사람들이 매장 경험에 집중하고 있을 때 아블로가 이미지의 경험을 얘기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반니의 작업은 도시 경험을 이미지를 이용해 설명한다.

상당수의 직접 경험이 어려워져만 가는 상황은 건축과 도시 분야에 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다. 예컨대 공간을 찾아 경험하는 게 어려워진 오늘날에도 과연 건축의 본질을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건지, 휴대전화 화면을 통해 곳곳을 경험하는 지금 우리에게 도시는 어떤 것인지 등등.

한때 너무 당연하게 믿어 왔던 믿음들이 깨져 가고 변화하는 중이다. 보이는 층위와 방법이 달라지면서 언젠가 광고였던 게 정보가 되기도, 광고판은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건축 요소로 기능하기도 한다. 거리두기와 함께 ‘이미지’가 어느 때보다 강하게 작동하는 것이다. 아무리 이미지가 범람하는 시대라고 하더라도 그렇지 않다고 주장해온 경험들이 있었는데, 이제는 일련의 경험마저도 점차 이미지로 소비되고 있다.

그래서 어느 때보다 이미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데 더욱 비판적 역량이 요구된다. 그저 뻔한 유행과 감상을 반복하는 이미지 대신 말이다. 가령 그저 ‘비어 있다’는 황량한 감정을 조장하는 도시 이미지들의 반복은 예술적으로도 진부한 어휘이지만, 사회적으로도 사람들을 우울감에 빠뜨리는 일차원적인 기록 사진을 벗어나지 못한다. 직접 경험을 대리하는 역할로서 이미지는 갈수록 많은 것들과 관계를 맺게 된다. 지금 팬데믹 시대가 분명 비극일지라도, 특정 시대를 기록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는 어느 예술가들은 단순한 감상에서 벗어나 또 다른 통찰과 해석으로 나아가야 한다.
2020-11-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