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림 드라마 작가
어쩔 수 없는 이유로 멈추고 나서야 깨닫는다. 아무것도 아닌 줄 알았던 소소한 행복들이 일상의 구석구석 숨어 있었다는 것을.
물고기는 물속에 있을 때는 그 어느 곳으로든 갈 수 있는 자유와 행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물고기는 자신이 자유롭고 행복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사람들이 쳐 놓은 그물에 걸려 땅에 올라오고 난 후에야 비로소 그때가 행복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우리 역시 다르지 않다. 행복한 순간엔 행복한 줄을 몰랐다가 행복이 지나고 나서야 안다. 행복은 그렇게 언제나 떠나가면서 제 모습을 보여 준다.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 그리 거창한 시간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의 시간이라고 말하는 소설이 있다. 남편이 저세상으로 떠난 후에 그가 남긴 여덟 개의 모자를 보며 추억을 서술하고 있는, 박완서 선생의 자전적 소설 ‘여덟 개의 모자로 남은 당신’. 그 소설에서는 이렇게 회고한다. ‘한 그릇의 두부찌개는 누가 천년까지 먹고 살 금은보화를 가지고 와서 바꾸자고 해도 거들떠도 안 볼 만큼 값진 것’이었다고.
남편이 시한부를 살아가는 마지막 그 무렵에, 아내는 거창한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그저 외출한 남편을 기다리며 저녁 준비를 했다. 부엌 조리대 작은 창을 통해 버스 정류장을 내려다볼 수 있었는데, 남편이 저녁노을 속으로 돌아오는 모습이 보였다.
마지막에 가장 소중했던 순간은, 특별한 곳을 여행하는 시간이 아니었다. 먼 훗날 계획을 도모하는 시간도 아니었다. 부부가 따뜻한 찌개를 앞에 두고 마주 앉는 시간, 소주 한 병 사들고 걸어오는 남편을 마중하는 시간이 가슴 벅차게 행복한 순간이었다.
가장 빛나는 시간은 그렇게 일상 속에 스며들어 있다는 것을, 가장 설레는 시간은 그렇게 그 사람과 시선을 맞추는 때라는 것을 우리는 왜 자꾸 잊어버리고 사는 걸까.
지금 내 곁을 지켜주는 사람이 참 좋은 사람이라는 사실, 생의 마지막 순간에는 결국 그 사람이 보고 싶어진다는 사실, 내 인생의 가장 소중한 것들은 생의 마지막 순간에 알게 되는 것들이라는 사실. 그것들을 깨닫기 위해 우리는 호된 인생 수업료를 치르곤 한다. 현실은 지리멸렬하니 보다 화려한 생을 다오, 내 모습은 초라하니 보다 아름다운 자태를 다오…. 오늘보다 어제나 내일에 매달리고, 곁에 있는 사람보다 멀리 있는 사람을 꿈꾸며, 현실보다 환상에 취한다. 그런 우리에게 소설 속 주인공이 전해준다. 그토록 지루했던 평온이 바로 행복이었다고. 그러니 일상 속에 숨은 행복을 잘 꼽아 보고 그 기쁨을 크게 느껴 보라고.
햇살을 받으며 산책하기, 친구와 이어폰 한 짝씩 나눠 끼고 음악 듣기, 동네 도서관에서 책 빌려 오기, 사랑하는 사람과 공원으로 나가 도시락 먹기, 어머니를 업고 일곱 걸음 걸어가기…. 행복해지기 위한 방법은 이토록 사소하고 쉽다. 행복은 보이지 않는다. 만질 수도 없다. 들리지도 않는다. 그러나 분명 순간순간에 존재한다. 그러고 보면 ‘나는 지금 행복하다’는 사실을 섬세하게 느끼고 한껏 받아들이며 살아가는 사람은, 감성의 천재다.
잠시 멈춤의 시간이 지나가고 나면 그 자리에 무엇이 남게 될까. 서운한 상처가 아니라 동행의 기쁨이, 차가운 차별이 아니라 따뜻한 이해가 놓였으면 좋겠다.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그 고마움을 품었으면 좋겠다.
2020-04-0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