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헌 미술평론가
첫 번째는 한 여인이 왕에게 들려주는 1000개의 일화에 관한 것이다. 공동체가 축적해 온 원형적인 적층 문학이자 ‘천일야화’로도 잘 알려진 이 에피소드는 ‘서사’(narrative)에 관한 흥미로운 질문을 불러들인다.
16번째 밤이 되었을 때 셰에라자드는 현자 두반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는 뛰어난 의사로 한센병을 앓고 있는 왕을 치료해 주고 그에게 총애를 받지만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되려 죽을 위기에 처한다. 그는 처형 직전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아무도 들어본 적 없는 이야기가 적혀 있다는 책을 왕에게 선물한다. 두반의 목이 잘리고 왕은 허겁지겁 책을 펼친다. 그러나 거기에는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빈 페이지들뿐이다. 왕은 돌연 쓰러져 죽음을 맞이한다.
두 번째는 연쇄살인이 일어나는 어느 수도원의 이야기로, 특정한 책을 읽은 젊은 사제들은 모두 죽음에 이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두 번째 시학으로 알려진 이 책은 많은 이들이 찾아 헤맸으나 아무도 읽어 본 적 없는 그의 희극론이 쓰여 있다고 전해진다.
텅 비어 있거나 존재하지 않는 책은 어째서 죽음과 관계되는가. 두 이야기는 일종의 상동적 관계를 맺고 있다. 표면적인 차원에서 두 이야기는 모두 책에 독이 묻어 있어 이를 만진 자들을 죽게 한다. 그러나 좀더 심층적인 차원에서, 서사야말로 무언가가 존재하기 위한 근원적인 토대이자 이야기 없이는 아무것도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말해 준다.
실제로 서사는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함에 있어 필연적인 인식의 조건이다. 최근 몇몇 인지심리학자들은 ‘내러티브적 인지’(narrative cognition)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이는 뇌가 정보를 받아들일 때 인과관계나 선형적인 순서에 따라 그것을 배열하고 동시에 저장한다는 개념이다. “온 세상이 하나의 무대”라는 셰익스피어의 말처럼 우리의 지각방식은 서사의 구조와 매우 닮아 있으며, 우리는 오직 이야기를 통해서만 세상을 온전히 바라볼 수 있는지도 모른다.
동시에 서사는 개인적 차원에서 한 인간이 태어나면서 죽음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집단적 차원에서 그것은 시간의 축적을 통해 인류가 쌓아 올린 사건의 지층으로, 역사라는 또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작은 이야기들이 모여 거대한 강줄기를 이루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광경. 그것은 다분히 근대적인 이미지로, 헝가리 철학자이자 미학자인 죄르지 루카치는 그의 책 ‘소설의 이론’에서 서사시야말로 우리가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을 훤히 밝혀 주었음을 예찬하기도 했다.
그러나 무엇보다 서사에 대한 가장 근원적인 장면은 프랑스 철학자 장뤼크 낭시에게서 찾을 수 있다. 그는 공동체와 이야기의 관계를 탐구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람들이 모여 있고 누군가가 그들에게 뭔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모여 있는 이 사람들에 대해 우리는 그들이 집회를 하는지, 하나의 무리인지, 혹은 하나의 부족인지 아직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을 ‘형제들’이라고 부른다. 왜냐하면 그들이 모여 있고 같은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장기간의 부재 혹은 신비로운 유배를 마치고 돌아온 누군가가 불을 피우면 그 주변으로 사람들이 모여든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들려주고 있다. 특정한 서사-형식 안에서 그들은 더이상 각자가 아니라 하나의 공동체로 포개진다. 이야기는 이제 신화적인 것으로 변화한다. 세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방식이, 공동체에 대한 기원적인 형상이 서사라는 무대 위에서 상연되는 중이다. 영원히 끝나지 않는 연극의 한 장면처럼.
2020-03-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