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헌 미술평론가
현대미술의 역사는 서양미술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그 기원은 18세기 유럽의 낭만주의와 함께 등장한 예술의 자율성에 있으며, 그러므로 현대미술은 유라시아의 특정한 지역에서 ‘발명’됐다고 볼 수 있다. 이후 수많은 사조가 부흥과 쇠락을 거듭하며 전개된 현대미술은 이제 전 지구적인 문제에 응답하는 비엔날레까지 만들어 내고 있다. 동시에 작품과 함께 발전해 온 비평이나 예술이론 역시 구미(歐美)로부터 생산되고 전파됐다. 우리나라와 같은 비서구권은 번역이라는 복잡한 과정 안에서 이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현대미술에 관한 이론들이 수입되기 시작한 80년대 후반 출판된 ‘현대미술비평30선’(중앙M&Bㆍ1987)은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대한 한국 미술계의 반응을 잘 보여 준다. 책의 서문에는 “한국에서 자생된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주어진” 현대예술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이 책을 출판했다고 적는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은 서구 담론들이 빠르게 유입되던 당시 이들이 직면한 긴급한 현안을 떠올리게 한다. 새로운 예술이론 앞에서 자각된 담론적 시차와 이를 따라잡으려는 열망, 그럼에도 굴절될 수밖에 없는 로컬리티의 특수성 등을 그들은 고민해야 했던 것이다.
서구에서 생산된 최신 이론이나 경향이 번역을 통해 확산되는 일은 시대마다 그 의미와 기능을 달리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질문은 예술 담론이 번역되기 시작한 이래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우리가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이다. 먼저 하나의 이론이 세계를 온전히 포괄하고 명징하게 해석할 수 있는지 물어야 한다. 총체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거대 담론이 현실의 모든 원리에 적용할 수 없음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특정한 지역 공동체가 축적한 역사와 조건, 맥락을 초월한 이론 대신 각각의 지역성에 기반한 특정 이론들만이 존재할 수 있다.
다음은 서구의 예술 담론에 대한 의존도의 문제다. 해방 이후 한국미술계는 자신의 역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왔으나 아직 자생적인 이론을 생산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여전히 담론의 외주화라는 오랜 숙제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새로운 세대의 예술가와 연구자들은 서구 이론을 권위적으로 수용하는 대신 보다 실용적인 태도로 접근하고 있기도 하다.
서구권에서 26년 전에 출판된 책이 이제야 번역된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단순히 서구중심주의라고 비판하거나 줄여야 하는 이론적 격차로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보다는 수용과 번역에 관한 다른 관점이 필요하다.
거대한 성탑(聖塔)과 신의 분노, 언어를 잃은 자들의 이야기로 알려진 바벨탑의 신화는 때때로 번역의 다른 가능성을 떠올리게 한다. 탑이 인간의 오만이 아니라 다시 올 대홍수로부터 자신들을 지키기 위해 지어졌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런데 신은 왜 분노하는가? 이는 지식의 확산을 제한하거나 앎의 배타성을 강화하려는 엘리트주의와 그것에 대항하려는 자들의 서사로 읽히기에 충분하다. 다른 언어를 통해 지식을 독점하고 위계를 만들려는 경향은 지금도 작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번역은 지식을 생성하고 이를 순환시키면서 앎의 사건을 촉발하는 일종의 공유지가 될 수도 있다. 새로운 바벨탑은 번역을 통해 이미 건설되고 있는 것이다.
2020-01-0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