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사람들은 왜 열차에서 책을 읽기 시작했을까/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문화마당] 사람들은 왜 열차에서 책을 읽기 시작했을까/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입력 2016-08-31 17:58
수정 2016-08-31 17: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김홍민 북스피어 대표
언젠가 트위터에서 이런 글을 본 적이 있다. 꽤 오래전 일이라 기억이 흐릿하지만 대충 옮겨 보면 지하철에 탔는데 요즘 어린 친구들은 스마트폰에만 코를 박고 있으니 그렇잖아도 삭막한 세상이 더욱 삭막하게 느껴지더라는 내용이었다. 당시만 해도 스마트폰이 광범위하게 보급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고 나도 책 판매가 부진한 데 대한 피해 의식을 막연하게 느끼던 터라 해당 글을 보며 고개를 끄덕이고 말았다. 한데 그에 대한 누군가의 답글이 걸작이었다. “그럼 댁은 예전에 지하철 타면 처음 보는 사람들한테 막 인사하고 모르는 사람들이랑 사이좋게 수다도 떨면서 가셨나 봐요?” 맞네, 원래 지하철에서는 다들 데면데면하게 가지 않았던가. 그게 어찌 ‘스마트폰에만 코를 박고 있는 어린 친구들’ 때문이란 말인지. 보기 좋게 한 방 먹었다.

19세기 열차 속 풍경을 소개한 ‘철도 여행의 역사’를 보면 이와 관련한 내용이 나온다. 마차에서 열차로 이동 수단이 바뀌자 사람들은 무척 당황했다고 한다. 슬슬 움직이던 마차에 앉아 풍광을 감상했던 것과 달리 열차에서는 풍광을 살피기는커녕 창밖으로 지나치는 무언가를 인식하기조차 어려웠기 때문이다. “총알 같은 속도의 빠르기에서는 그 곁을 지나가는 동안에도 길에 서 있는 사람들을 알아보는 것이 불가능했다”는 내용이 당시 여러 문헌을 통해 발견된 걸로 보아 오늘날로 치면 밖을 쳐다봐야 어둠뿐인 터널 속 지하철 승객과 대동소이한 느낌을 받았던 게 아닌가 싶다. 이들에게는 둘러봐야 뭐가 뭔지 모르겠는 풍경을 대신할 수 있는 어떤 것이 필요했다. 저자인 볼프강 시벨부슈는 덕분에 “독서는 열차 안에서 일반적으로 몰두할 수 있는 일거리가 돼 버렸다”고 적었다.

실제로 열차는 독서 문화 창달에 혁혁한 공을 세웠다. 1840년대 말의 영국에서는 열차를 탈 때 책을 빌렸다가 내릴 때 반납하는 특이한 형태의 도서 대여 조직이 생겨났고 뒤마나 호돈처럼 유명한 작가들의 소설로 구성된 ‘철도총서’가 발간되기도 했다. 이러한 영국의 움직임은 1852년 무렵 프랑스로 전해져 출판사 아셰트 리브르는 철도회사와 함께 최초의 역 서점을 만들고 2년여에 걸쳐 60개 지점으로 늘려 나갔다. 이로 인해 도서와 신문의 판매 수익이 급증했음은 말할 나위 없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열차에 탄 사람들이 독서에 몰두하게 된 보다 근본적인 이유로 ‘승객들의 관계’를 들고 있다. 마차를 타고 오랜 기간 함께 여행하는 것과 달리 열차는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수시로 탔다가 수시로 내린다. 그리하여 어떤 결과가 초래됐느냐.

“자주 특정한 여행자의 무관심과 부딪히게 됐다. 열차가 사람들의 예절과 습관을 완전히 변화시킨 것이다. 여행을 함께 시작했던 여행자는 벌써 다음 역에서 내리고 그 자리를 다른 사람이 대신하는 상황에서 독서는 하나의 필요가 됐다.” 즉 사람들은 객실에서 침묵한 채 서로 멀뚱멀뚱 마주 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하고도 고통스러운 상황을 피하기 위해 당시로서는 가장 휴대하기 편한 기기였던 책과 신문으로 눈을 돌리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사정을 알고 나니 그동안 무턱대고 ‘출판의 적’으로 치부했던 스마트폰에게 다소 미안한 기분도 든다. 다들 뻘쭘하니까 뭐든 들여다봤던 거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들여다보기 편한 것을 들여다본 것뿐인데 공연히 스마트폰만 원망하고 말았다. 그건 그렇고 이런 추세라면 곧 지하철에서 VR 기기 같은 것들을 얼굴에 쓰고 나란히 앉아 있는 SF적 풍경을 볼 날도 멀지 않았겠다.
2016-09-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