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공공예술은 문화복지다/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문화마당] 공공예술은 문화복지다/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입력 2016-07-13 22:20
수정 2016-07-13 2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정재왈 안양문화예술재단 대표
3년마다 열리는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는 내가 맡은 일 가운데 올해 바짝 신경을 써야 할 일이다. ‘국제적인, 국내 유일의 공공예술 트리엔날레’로, 개최하는 해엔 30억원 정도의 예산이 든다. 5회째인 올해 예산이 딱 그 정도이다. 재정이 넉넉지 않은 기초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하기엔 적잖은 규모이다. 그것도 단일 행사에 말이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헉!’ 하겠지만, 내용상 그만한 예산이 들 수밖에 없는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공공예술(프로젝트)은 특정 도시의 지형과 문화, 역사 등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작품을 시내 곳곳에서 선보이는 대규모 전시형 기획을 일컫는다. 예술이 소수, 특정 향유자의 전유물에 머무르는 것을 배격하며 일상 속, 즉 공공의 장으로 파고들어 가 시민과 소통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됐다. 따라서 도시 곳곳이 캔버스가 되고, 취할 대상은 무궁무진하다. 이러니 돈이 좀 들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상해 보라. 시민 대중이 모두 관람객이란 사실을 말이다.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적 관점에서도 공공예술의 가치는 결코 폄하할 수 없다.

안양이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건 분명하다. 이미 10년 전 국내에 공공예술의 개념조차 낯설던 그때 이 프로젝트를 기획했고, 이 성과인 작품들이 시내 곳곳에 산재해 지금도 시민들과 인사한다. 국내외 저명 작가 작품 50여 점이 설치된 안양예술공원 일대는 물론 평촌 신도시 등 도심 곳곳에 140여 점이 널려 있다. 안양을 지나다 미술품 같다 싶으면 그게 다 공공예술의 성과물로 봐도 무방하다.

지난 10년간 다섯 번의 행사, 주최하는 입장에서 보면 말처럼 쉬운 일 아니다. 오는 10월 중순 개막하는 ‘APAP 5’에는 국내외 저명한 25개 작가(팀)가 참여한다. 보존 기간이 3∼5년 이상인 장기 존치 작품부터 1년 남짓한 것까지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큰 프로젝트가 늘 그렇듯, 진행 과정은 순탄치 않다. 예민한 예술가 그룹을 다독여야 하는 건 약과다. 천차만별인 시민 사회의 요구, 시의회 등 이해 관계자들의 끊임없는 ‘훈수’ 등 어느 하나 외면할 수 없는 일들 투성이다. 지역 공동체와 함께 가야 하는 공공예술의 특성상 허투루 넘길 수 없는 쟁점의 양상은 대개 이런 것이다.

첫째, 즉시 투자 효과에 대한 포퓰리즘적 발상이다. 설계 및 제작에 많게는 수억원이 들어간 작품이 도대체 시민들에게 무슨 의미(효과)가 있느냐는 것이다. 차라리 그 돈을 저소득층을 위한 직접적 복지비용으로 쓰는 게 낫지 않겠느냐는 주장. 일리는 있으나 돈의 용처에 관해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는 영역이다.

둘째, 수익성에 대한 유혹이다. 주지하다시피 공공예술은 당장의 실익에 눈먼 투기가 아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투자’의 대상은 될 수 있다. 부지불식간 공공예술을 통한 미적 체험은 시민들의 정서 함양에 엄청난 효과를 안긴다고 확신한다. 궁극적으로 이는 도시의 경쟁력을 키워, 부르디외가 말한 ‘문화자본’을 형성한다.

셋째, 공공예술의 특성에 대한 협소한 이해이다. 유형의 조형물은 오래 남아 눈에 새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건축과 조각, 디자인 같은 것이 이런 유에 해당한다. 초기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에서 두각을 보여 시민들에게 효용성을 각인시킨 것도 이런 작품들이다. 문제는 이게 이젠 공공예술의 전부는 아니란 사실이다. 영상과 미디어, 퍼포먼스, 시민 참여 활동 등 그 범위가 확장된 사실에 이젠 주목해야 한다. 올해 ‘APAP 5’가 그런 답을 주길 기대하면서 나는 준비하고 있다.
2016-07-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