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디 최 미술가·문화이론가
실례로 한국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들려주는 팝송 중에는 미국에서 거의 들을 수 없는 곡들이 종종 방송되는 것과 미국 거리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MTV 가수들의 패션을 홍대 거리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서양에는 없는 얼굴 작은 미인, 키 큰 미남과 같은 서구미의 기준이 우리 사회에 일반화된 것 등을 감안할 때, 우리 속에 있는 서양은 서양 속에 없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의 아시아인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문화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상대적인 입장과 관점에서 재해석을 시도하고 인정함으로써 새로운 문화와 언어를 찾아야 한다. 둘째, 틀에 박혀 있는 인종주의와 민족주의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적개심과 저항을 절충할 수 있는 문화와 언어를 찾아야 한다. 이것은 보편적 실재 또는 보편적 특성의 행동 양식을 이룩하는 것으로 ‘식민주의의 진정한 완성’이며 동시에 ‘탈식민지 사상’이다. 또한 이는 문화적 갈등과 불균형 구조를 초월하고 관점을 바꾸어 새로운 시각을 가짐으로써 서로 연합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항상 침략자적 입장을 취하는 새로운 문화는 전통 문화 또는 이미 정착돼 있는 문화에 침투해 주도권을 잡으려고 시도하는데, 이에 대해 기존 문화권은 종종 상반된 두 가지 태도로 나타난다. 그 하나는 무저항적 수용이며, 다른 하나는 격렬한 충돌이다. 예컨대 1990년대 들어 미국 힙합문화의 침략에 대해 무조건 수용하며 따라가던 세력과 우리 가은 세계적인 것이라며 전통을 찾으려고 저항하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인도의 문화학자이며 심리학자인 애슈스 난디는 이 두 가지 모두 본질적으로 식민지 근성의 뿌리에서 나오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난디는 제3의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관찰자로서의 반대론자’가 바로 그것이다. 단순히 무저항적·수용적 태도로 서양의 문화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영원히 변화될 수 없는 우리의 본질을 발견해야 하며, 문화 식민화 과정을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바라봄에 따라 서양 문화와 아시아 문화 사이의 과거, 현재, 미래를 순차적이고 단계적인 연속선상의 역사적 관계로 바라보게 될 때 그 속에서 미래 문화의 비전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반드시 강조돼야 할 것은 설령 서양문화권에서는 가볍게 취급해 쉽게 받아들이거나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학술적 기대치 때문에 무시되는 아시아의 문화라 해도 아시아 사회는 그들의 독특한 입장과 개념 그리고 그들의 언어 체계 아래 명확한 사상과 감정을 포용한 자체의 미래를 찾아내야 한다. 이는 곧 자신의 자생적 문화의 미래와 그 실체를 찾아가는 대안이 된다. 만약 이와 같은 연구를 하지 않을 경우 전통 문화는 진부한 과거에 수감돼 있는 죄인이 되며, 현재와 미래는 오로지 서구의 문명화 과정에만 끌려가게 된다.
우리가 가져야 할 서양 문명과 문화에 대한 입장이 무저항적 수용과 충돌을 벗어나 신중하게 자체의 근거를 지키며 진리를 간파하고 서로를 존중할 때 각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동시에 타 문화에 대한 수준 높은 저항주의와 미래 문화 창조가 가능할 것이다.
2015-12-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