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대학에서 번역 워크숍을 하기로 했다. 그곳의 한국학과 학생들이 단편소설 한 편을 가지고 한 학기 동안 번역 작업을 하고 나면, 나중에 작가와 함께 시간을 가지고 토론을 해서 결과물을 만든다고 했다. 일반적인 낭독회나 작가와의 만남처럼 일회적인 행사가 아니어서 기대감이 컸다. 그런데 그 작품이 하필이면 ‘멍게 뒷맛’이란다. 멍게 뒷맛이라니. 멍게도 멍게거니와 뒷맛은 또 어떻게 하려나. 우려가 뒤따라왔다.
그들이 멍게 맛을 어찌 알까? 멍게가 어떻게 생겨 먹었는지는 검색으로 어찌 알아낸다 해도 멍게를 다듬는 과정이랄지, 그 과정에서 풍겨 나오는 알싸한 냄새랄지, 그것을 입에 막 넣었을 때와 삼키고 난 후 입안에 감도는 맛의 다름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멍게를 본 적도 맛본 적도 없는 사람들에게, 나는 또 그 맛을 어떻게 설명해 줄 것인가? 하물며 멍게를 먹으면 살고 싶어진다는 주인공의 삶은 어찌 이해시키겠는가?
그래서 멍게 맛 좀 보여 주자 궁리했다. 멍게를 통째로 냉동을 해서 스티로폼에 싸 간다. 학생들 앞에서 직접 손질해 보여 준다. 신선도를 장담할 순 없지만 냄새 정도는 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공항검색대만 통과하면. 거기서 막혔다. 그렇지 않아도 테러 때문에 유럽 전역에서 검문검색이 강화되었다는데, 멍게란 놈 생김새가 자칫 수류탄 같은 걸로 오인받을 수도? 아주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으니 그 뒤에 벌어질 일이 아찔하다. 궁리 끝에 멍게 젓갈을 한 통 샀다. 회에 비할 수는 없겠으나 향이라도 맡을 수 있을 터.
학생들을 만났다. 역시나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들을 먼저 들려주었다. 구조나 문법의 차이에서 오는 언어적 장벽. 문화를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답답함. 그런데 주인공은 왜 멍게를 먹었을까요? 다른 음식도 아닌 멍게를? 이런 여자라면, 이런 삶이라면, 초콜릿이나 케이크나 아이스크림 같은 걸 먹었을 텐데. 소설에 나오는 멍게는 빨간색인가요, 갈색인가요? 역시나 자국의 독자라면 하지 않아도 되었을 사소한 질문들이 쏟아져 나왔다. 쑥스럽게, 그러나 알고 싶어 미치겠다는 얼굴로.
이번엔 내가 그들에게 물었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에 남는 맛이 어떤 것이었느냐고. 소금, 식초, 오렌지, 바다, 파도소리, 눈물 등. 그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사물들을 총동원해 그 맛을 설명해 주었다. 그것이 멍게 뒷맛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내가 염두에 두고 있던 인생의 어떤 맛과 다른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학생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 나갈수록 가슴이 벅차올랐다. 한 작품을 이해하고 그에 가장 적합한 언어를 선택하려고 애를 쓴 시간들. 학생들끼리 설왕설래하던 것들이 내 이야기를 듣고 난 후 해결이 되었을 때, 교실 전체에 일제히 터져 나온 박수와 환호라니. 단어 하나 문장 하나. 그렇게 한 문단 한 문단 채워 가며 울고 웃었을 그들의 시간이 눈앞에 그대로 펼쳐졌다. 내가 그 소설을 쓰던 그 시간 그 공간으로 돌아간 것 같았다.
내가 한 궁리들이 얼마나 쓸데없는 짓이었는지를 깨달았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에도 그 맛이 짐작되지 않는다면, 그 소설은 실패한 소설이 아니겠는가. 눈으로 본 적도 없고 맛본 적도 없는 인생의 어떤 맛을, 글로써 맛보게 하는 것이 또한 소설이 하고자 하는 일이 아니겠는가. 나는 가지고 간 멍게 젓갈을 도로 집어넣었다. 그런데도 꼭 그들과 멍게회 한 소쿠리 나눠 먹은 기분이었다. 입에 고인 침이 오래도록 단맛을 뿜었다. 잘 살고 싶어졌다. 비로소 내 주인공의 삶을 이해한 듯했다.
천운영 소설가
그래서 멍게 맛 좀 보여 주자 궁리했다. 멍게를 통째로 냉동을 해서 스티로폼에 싸 간다. 학생들 앞에서 직접 손질해 보여 준다. 신선도를 장담할 순 없지만 냄새 정도는 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공항검색대만 통과하면. 거기서 막혔다. 그렇지 않아도 테러 때문에 유럽 전역에서 검문검색이 강화되었다는데, 멍게란 놈 생김새가 자칫 수류탄 같은 걸로 오인받을 수도? 아주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고는 장담할 수 없으니 그 뒤에 벌어질 일이 아찔하다. 궁리 끝에 멍게 젓갈을 한 통 샀다. 회에 비할 수는 없겠으나 향이라도 맡을 수 있을 터.
학생들을 만났다. 역시나 번역하는 과정에서 어려웠던 점들을 먼저 들려주었다. 구조나 문법의 차이에서 오는 언어적 장벽. 문화를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답답함. 그런데 주인공은 왜 멍게를 먹었을까요? 다른 음식도 아닌 멍게를? 이런 여자라면, 이런 삶이라면, 초콜릿이나 케이크나 아이스크림 같은 걸 먹었을 텐데. 소설에 나오는 멍게는 빨간색인가요, 갈색인가요? 역시나 자국의 독자라면 하지 않아도 되었을 사소한 질문들이 쏟아져 나왔다. 쑥스럽게, 그러나 알고 싶어 미치겠다는 얼굴로.
이번엔 내가 그들에게 물었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에 남는 맛이 어떤 것이었느냐고. 소금, 식초, 오렌지, 바다, 파도소리, 눈물 등. 그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사물들을 총동원해 그 맛을 설명해 주었다. 그것이 멍게 뒷맛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내가 염두에 두고 있던 인생의 어떤 맛과 다른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학생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 나갈수록 가슴이 벅차올랐다. 한 작품을 이해하고 그에 가장 적합한 언어를 선택하려고 애를 쓴 시간들. 학생들끼리 설왕설래하던 것들이 내 이야기를 듣고 난 후 해결이 되었을 때, 교실 전체에 일제히 터져 나온 박수와 환호라니. 단어 하나 문장 하나. 그렇게 한 문단 한 문단 채워 가며 울고 웃었을 그들의 시간이 눈앞에 그대로 펼쳐졌다. 내가 그 소설을 쓰던 그 시간 그 공간으로 돌아간 것 같았다.
내가 한 궁리들이 얼마나 쓸데없는 짓이었는지를 깨달았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에도 그 맛이 짐작되지 않는다면, 그 소설은 실패한 소설이 아니겠는가. 눈으로 본 적도 없고 맛본 적도 없는 인생의 어떤 맛을, 글로써 맛보게 하는 것이 또한 소설이 하고자 하는 일이 아니겠는가. 나는 가지고 간 멍게 젓갈을 도로 집어넣었다. 그런데도 꼭 그들과 멍게회 한 소쿠리 나눠 먹은 기분이었다. 입에 고인 침이 오래도록 단맛을 뿜었다. 잘 살고 싶어졌다. 비로소 내 주인공의 삶을 이해한 듯했다.
2015-12-1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